Browse Archives | About | For Contributor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34, No. 3, pp. 203-214 | |
Abbrevia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 |
ISSN: 1225-6781 (Print) 2288-8802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 |
Received 17 May 2024 Revised 24 Jun 2024 Accepted 24 Jun 2024 | |
DOI: https://doi.org/10.17495/easdl.2024.6.34.3.203 | |
강원지역 보육교사의 급식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과 급식지도와의 관계 | |
이승림†
| |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부교수 | |
Relationship with the Perception of Foodservice,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service Guida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in Gangwon Area | |
Seung-Lim Lee†
| |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ood and Nutrition, Sangji University, Wonju 26339, Republic of Korea | |
Correspondence to : †Seung-Lim Lee, Tel: +82-33-730-0790, Fax: +82-33-730-0799, E-mail: luce3502@sangji.ac.kr | |
Funding Information ▼ |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foodservice, health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service guidance for day-care center teacher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01), marriage (p<0.001), and infant age (0—3 years old) (p<0.01) in the order of ‘national·corporation·workplace day-care center’ < ‘private daycare day-care center’ < ‘home day-care center’.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foodservice, ‘the food guidance area’ (p<0.05), ‘Foodservice helps children to get well balanced and nutritious meals’ (p<0.01), ‘Foodservice lets children get various foods’ (p<0.01), and ‘Children can learn gratitude and consideration from food service’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corporation·workplace day-care center’. In terms of health behavio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corporation·workplace day-care center’ in the category of ‘I cook by myself rather than have processed food’ (p<0.05). In terms of nutritional knowledg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ome day-care centers in the ‘food habits’ area (p<0.05). Among the items, ‘When making baby food, use more than two sorts of food at the same time’ (p<0.001) and ‘Calcium can be lack easily in early childhood’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In terms of foodservice guidance, the ‘Teaching table manner’ area (p<0.05) and ‘I teach children to start their meal with friends’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me day-care cent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s of foodservice and foodservice guidance (p<0.001),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p<0.001), and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service guidance (p<0.05).
Keywords: perception of foodservice, nutritional knowledge, foodservice guidance, day-care center teachers |
우리나라는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였고, 맞벌이 가족이 증가하였다.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 증가로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로 보육시설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국가에서는 자녀의 양육과 교육을 위해 보육시설에 대한 확충지원을 하고 있다(Seo YJ & Jeon MS 2015; Kim GY 2020). 이러한 국가적 노력으로 보육시설은 1999년 18,768개에서 증가하여 2013년 43,770개를 정점으로 2023년 28,954개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고, 어린이집 보육아동 현황은 1999년 640,915명에서 증가하여 2014년 1,496,671명을 정점으로 하여 2023년 1,011,813명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MOHW 2024). 2014년 이후 연도별 어린이집 설치·운영현황 감소와 2017년 이후 보육아동 현황의 급격한 감소는 저출산으로 인하여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육교사 1인이 담당하는 아동수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 보육교사가 영유아 대상으로 더욱 세심하게 급식지도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간다고 하였다(Kim GY 2020; MOHW 2024). 영유아보육시설의 증가는 영유아 급식의 보편화를 가져왔다(Seo YJ & Jeon MS 2015).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급식 규모가 커짐과 동시에 24시간제, 종일제, 연장제, 휴일 등 프로그램의 활성화로 장시간 머무는 어린이가 증가하여 시설에서 급·간식 제공 비율이 늘어나고 있어(Bae HJ 등 2009; MOHW 2024) 영유아들이 어린이집에서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식사를 하고 있으므로 영양 섭취와 식습관 형성을 위해 어린이집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Yooh JS 등 2013). 어린이집의 정기적인 평가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고, 평가 21개 지표 79항목 중 건강·안전에서 급·간식 부분은 1개 지표에 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에 어린이집 평가항목을 개선하여 영유아의 건강·안전관리 강화로 보존식 보관이 급·간식에 추가 반영되었다(MOHW & KCPI 2022).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100인 이상의 영유아보육시설은 영양사 배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나 잘 지켜지지 않고(Moon CL 2019), 2023년 전국어린이집 28,954개 시설 중 보육교직원 수는 302,800명이고 그 중 영양사는 941명(0.003%)으로(MOHW 2024), 대부분은 영양사가 없는 실정이다.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어린이 급식소에 체계적이고 철저한 위생·안전 및 영양 관리를 지원해주는 기관으로, 2011년부터는 영양사가 없는 100인 이하의 보육시설의 식단, 위생관리, 영양관리,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직접적인 식생활 교육과 급식지도에는 한계가 있다(Center for Children’s and Social Welfare Foodservice Manaement 2024). 이에 보육시설의 급식관리에서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보육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영유아 보육시설에서 급식을 담당하는 관리자는 교사가 74.6%를 차지하고 있었고(MOHW 2024), 급·간식의 제공시 보육교사는 배식 책임자로 배식환경을 관리 및 배식에 직접 참여하고, 영유아의 식사지도를 하고 있어(Seo YJ & Jeon MS 2015) 영유아 급식관리는 급식을 담당하는 교사의 노력과 관심에 따라 달라지며(Choi KS 2010; Kim HH 2011; Lee YC 등 2021), 보육교사의 식생활이 바람직하고 영양지식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급식지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HH 2011).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이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Ha JH & Kim YE 2014; Moon CL 2019). 영유아기는 식생활 교육을 통해 평생의 식생활 습관이 형성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로(Kim HH 2011; Kwag RY 2015; Lee YC 등 2021), 먹거리가 풍부해지면서 식품의 선택, 조리, 식사예절 등을 포함하는 식생활 교육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식사와 식생활 환경 등에 대한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을 강조하였다(Kim GY 2020; Kim JW 등 2020; Lee YC 등 2021). 따라서 영유아의 건강·영양·안전에 있어서 보육교사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건강, 식생활 지도와 연계하여 급식지도에 필요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Seo YJ & Jeon MS 2015; Moon CL 2019; Kim GY 2020; Kim JW 등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과 급식지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육교사들이 영유아를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과 급식지도에 연계된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S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강원지역 2023년 상반기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에 참석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내용,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육교사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여 381부(회수율 95.3%)가 회수되었고, 응답이 미비한 자료를 22부를 제외한 359부(분석율 89.8%)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내용은 선행연구들(Kwon SY & Suh YS 2012; Yoon JS 등 2013; Kwag RY 2015; Moon CL 2019)을 참고로 본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보육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실시 후 설문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조사 내용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과 급식지도 조사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다.
일반사항으로는 성별, 나이, 결혼여부, 보육교사 경력, 담당 유아 연령, 근무 중인 어린이집의 급식만족도, 어린이집 유형의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은 급식의 중요성, 영양과 성장의 관계, 급식지도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건강행동은 규칙적인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건강 습관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응답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까지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Cronbach’s α 값은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에서는 0.914이고, 건강행동에서는 0.897이었다.
영양지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습관, 위생·안전, 영양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 ‘아니다’, ‘잘 모르겠다’ 중 선택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정답인 경우 1점을 부여하였고, ‘모르겠다’와 ‘틀리다’인 경우는 0점 처리하여 총 14점으로 계산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에 대하여 영역별 및 각 문항별로 평균점수와 정답률(%)을 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영양지식에 대한 인식의 Cronbach’s α 값은 0.805이었다.
급식지도는 위생지도, 영양지도, 그리고 식사예절지도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5점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까지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어린이의 식생활 및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급식지도로 보았다. 급식지도의 Cronbach’s α 값은 0.947이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5.0 for window) package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Chi-square 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 급식지도의 차이는 One-Way ANOVA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사후 검증은 Duncan’s multiple test로 하였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과 급식지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Moon CL(2019)의 연구를 기초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52.1%(187명), ‘민간어린이집’ 34.3%(123명), 그리고 ‘가정어린이집’ 13.6%(49명), 3그룹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Category | Variables | Type of day-care center | Total (n=359) |
p-value1) | ||
---|---|---|---|---|---|---|
National·corporate· workplace (n=187) |
Private (n=123) |
Home (n=49) |
||||
Gender | Male | 3 ( 1.6)2) | 3 ( 2.4) | 1 ( 2.0) | 7 ( 1.9) | 0.872 |
Female | 184 (98.4) | 120 (97.6) | 48 (98.0) | 352 (98.1) | ||
Age (year) | 20∼29 | 64 (34.2) | 22 (17.9) | 5 (10.2) | 91 (25.3) | <0.001*** |
30∼39 | 42 (22.5) | 30 (24.4) | 6 (12.2) | 78 (21.7) | ||
40∼49 | 53 (28.3) | 52 (42.3) | 22 (44.9) | 127 (35.4) | ||
≥50 | 28 (15.0) | 19 (15.4) | 16 (32.7) | 63 (17.5) | ||
Mean±S.D. | 37.11±10.363) | 40.44±9.77 | 44.22±9.07 | 39.22±10.28 | <0.001*** | |
Marital status | Unmarried | 79 (42.5) | 34 (27.6) | 3 ( 6.1) | 116 (32.4) | <0.001*** |
Married | 107 (57.5) | 89 (72.4) | 46 (93.9) | 242 (67.6) | ||
Career (year) | ≥5 | 79 (45.1) | 47 (41.6) | 15 (31.3) | 141 (42.0) | 0.081 |
6∼10 | 45 (25.7) | 26 (23.0) | 19 (39.6) | 90 (26.8) | ||
11∼15 | 13 ( 7.4) | 18 (15.9) | 7 (14.6) | 38 (11.3) | ||
≥16 | 38 (21.7) | 22 (19.5) | 7 (14.6) | 67 (19.9) | ||
Mean±S.D. | 9.32±7.46 | 9.44±6.58 | 9.56±6.62 | 9.39±7.04 | 0.974 | |
Infant age in charge (year) |
0∼3 | 112 (59.9) | 88 (71.5) | 43 (87.8) | 243 (67.7) | 0.005** |
4 | 21 (11.2) | 6 ( 4.9) | 2 ( 4.1) | 29 ( 8.1) | ||
5 | 9 ( 4.8) | 9 ( 7.3) | 1 ( 2.0) | 19 ( 5.3) | ||
Mix | 29 (15.5) | 9 ( 7.3) | 3 ( 6.1) | 41 (11.4) | ||
None | 16 ( 8.6) | 11 ( 8.9) | 0 ( 0.0) | 27 ( 7.5) | ||
Satisfaction of food service | Satisfaction | 124 (66.3) | 66 (53.7) | 33 (67.3) | 223 (62.1) | 0.119 |
Normal | 52 (27.8) | 43 (35.0) | 14 (28.6) | 109 (30.4) | ||
Dissatisfaction | 11 ( 5.9) | 14 (11.4) | 2 ( 4.1) | 27 ( 7.5) |
그룹 간에 성별은 차이가 없었고, 전체평균 남성 1.9%, 여성 98.1%로 나타났다. 연령은 전체평균 39.22세,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37.11세, ‘민간어린이집’ 40.44세, ‘가정어린이집’ 44.22세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연령 비율은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은 ‘20∼29세’ 34.2%,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은 ‘40∼49세’ 각각 42.3%, 44.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고, 전체에서 ‘40∼49세’가 35.4%로 가장 많았고,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는 20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혼비율은 전체평균 67.6%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57.5%, ‘민간어린이집’ 72.4%, ‘가정어린이집’ 93.9%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담당 유아연령은 0∼3세 비율이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59.9%, ‘민간어린이집’ 71.5%, ‘가정어린이집’ 87.8%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보육교사의 남성 비율이 Seo YJ & Jeon MS(2015) 0.8%와 Kim GY(2020) 3%로 조사되어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Moon CL(2019)의 연구에서는 40대, 30대, 20대 순으로 조사되었고, 본 연구결과에서는 40대, 20대, 30대 순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고, 기혼의 비율이 높은 것과 근무경력 부분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진 데 비해 경력이 적은 것은 온라인 수강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보육교사는 다양한 연령에서 취득하는 추세이고, 본 연구에서 40세 이상의 보육교사가 ‘가정어린이집’ 77.6%, ‘민간어린이집’ 57.7%로 나타난 것은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유형 중 ‘민간어린이집’이 51.2%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이 57.5%로 다소 차이가 있었고, 담당 유아연령은 ‘0∼3세’ 75.2%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급식만족도는 ‘만족’ 63.3%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대상자 모집 과정, 지역, 시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Category | Variables | Tape of day-care center | Total (n=359) |
p-value1) | ||
---|---|---|---|---|---|---|
National·corporate· workplace (n=187) |
Private (n=123) |
Home (n=49) |
||||
Importance of foodservice | Foodservice is necessary for a day care center. | 4.87±0.412) | 4.85±0.40 | 4.88±0.33 | 4.87±0.39 | 0.905 |
Class teacher’s guidance is highly important for a day care center. | 4.69±0.59 | 4.72±0.47 | 4.73±0.45 | 4.70±0.53 | 0.839 | |
Foodservice helps children to share their emotions and reduce stress. | 3.87±0.96 | 3.86±1.00 | 4.00±1.00 | 3.89±0.98 | 0.679 | |
Sub total (mean±S.D.) | 4.48±0.48 | 4.48±0.48 | 4.54±0.43 | 4.49±0.47 | 0.711 | |
The relation between nutrition and growth | Foodservice helps children to improve their physical development and strength. | 4.74±0.50 | 4.65±0.63 | 4.69±0.55 | 4.70±0.55 | 0.345 |
Foodservice helps children to get well balanced and nutritious meals. | 4.76±0.46 | 4.56±0.82 | 4.55±0.65 | 4.67±0.64 | 0.009** | |
Foodservice helps children on their sensor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 4.32±0.76 | 4.23±0.83 | 4.16±0.85 | 4.27±0.80 | 0.370 | |
Sub total (mean±S.D.) | 4.61±0.47 | 4.48±0.61 | 4.47±0.56 | 4.55±0.54 | 0.064 | |
Foodservice guidance | Foodservice affects forming dietary manner and habits. | 4.57±0.70 | 4.50±0.84 | 4.41±0.64 | 4.52±0.74 | 0.372 |
Foodservice lets children get various foods. | 4.78±0.48 | 4.63±0.67 | 4.49±0.65 | 4.69±0.58 | 0.003** | |
Children can learn gratitude and consideration from food service. | 4.52±0.67 | 4.33±0.85 | 4.20±0.91 | 4.41±0.78 | 0.014* | |
Children can learn traditional food, table manner, and eating habits from service. | 4.47±0.73 | 4.43±0.76 | 4.20±0.93 | 4.42±0.77 | 0.097 | |
Sub total (mean±S.D.) | 4.58±0.52 | 4.47±0.67 | 4.33±0.66 | 4.51±0.60 | 0.019* | |
Total (mean±S.D.) | 4.56±0.44 | 4.47±0.52 | 4.43±0.52 | 4.51±0.48 | 0.144 |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4.51점으로 전반적으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급식에 대한 인식은 3개 영역 중 ‘급식지도’ 점수는 4.51점이고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58점, ‘민간어린이집’ 4.47점, ‘가정어린이집’ 4.33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급식의 중요성’은 4.49점, ‘영양과 성장과의 관계’는 4.55점으로 나타났다. 항목 중에서 ‘급식을 통해 균형 잡힌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76점, ‘민간어린이집’ 4.56점, ‘가정어린이집’ 4.55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급식은 다양한 음식을 접하는 기회가 된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78점, ‘민간어린이집’ 4.63점, ‘가정어린이집’ 4.49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급식을 통해 감사와 배려에 대하여 배울 수 있다’,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52점, ‘민간어린이집’ 4.33점, ‘가정어린이집’ 4.20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체적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Moon CL(2019)의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은 평균점수 4.40점, 영역별 점수는 ‘급식의 중요성’ 4.43점, ‘영양과 성장과의 관계’는 4.37점, 그리고 ‘급식지도’는 4.39점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균점수와 영역별 점수 각각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Moon CL(2019)은 항목 중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급식은 꼭 필요하다’가 4.6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도 동일하였으나 점수는 4.89점으로 본 연구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통해 보육교사들 대부분이 어린이집에서 급식은 꼭 필요하고, 급식지도의 중요성을 보육교사 직무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목 중에서는 ‘급식의 중요성’ 영역 중 ‘급식은 친구들과의 감정교류 및 스트레스 해소의 계기가 된다’ 3.89점으로 모든 항목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들에게 급식 시간은 영유아에게 필요한 영양 제공, 식사예절, 그리고 영유아의 사회성을 기르고 음식에 관련된 다채로운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 경험의 기회가 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는 보고(Moon CL 2019)에 동의하고, 급식지도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위생의 강화로 급식시간이 부분적으로 경직되었을 수 있으나, 급식지도 시간을 사회성과 다채로운 감각을 경험할 수 있게 다양한 방법이 접목되어 영유아에게 긍정적으로 식생활 지도를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건강행동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Category | Variables | Tape of day-care center | Total (n=359) |
p-value1) | ||
---|---|---|---|---|---|---|
National·corporate· workplace (n=187) |
Private (n=123) |
Home (n=49) |
||||
Regular diet | I have a meal three times a day. I have meals on time regularly. | 2.80±1.042) | 2.84±1.13 | 2.90±1.18 | 2.83±1.09 | 0.854 |
I manage the amount of food, depending on my physical activities. | 2.92±1.13 | 3.06±1.12 | 3.17±0.97 | 3.00±1.10 | 0.320 | |
Sub total (mean±S.D.) | 2.86±0.67 | 2.94±0.60 | 3.01±0.70 | 2.91±0.65 | 0.298 | |
Balanced diet | I eat vegetables of various colors every meal. | 2.85±1.01 | 2.72±1.03 | 2.78±1.09 | 2.80±1.02 | 0.566 |
I eat fruits more than four times a week. | 3.04±1.12 | 3.17±1.21 | 3.00±0.96 | 3.08±1.13 | 0.522 | |
I have a well-balanced meal composed with rice and side dishes. | 3.29±0.90 | 3.22±1.00 | 3.08±0.95 | 3.24±0.94 | 0.372 | |
I have balanced meal. | 3.56±1.16 | 3.67±1.16 | 3.63±1.18 | 3.61±1.16 | 0.729 | |
Sub total (mean±S.D.) | 3.18±0.70 | 3.20±0.71 | 3.12±0.69 | 3.18±0.70 | 0.821 | |
Healthy habit | I work out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 2.89±1.22 | 2.85±1.41 | 2.86±1.51 | 2.87±1.32 | 0.963 |
I refrain drinking lots of soda. | 3.29±1.35 | 3.37±1.35 | 3.76±1.13 | 3.38±1.33 | 0.095 | |
I know what food is not proper for my body condition. | 3.74±0.98 | 3.72±1.03 | 3.84±0.87 | 3.75±0.98 | 0.782 | |
I do not eat out too often. | 3.02±1.14 | 3.02±1.11 | 2.98±1.03 | 3.01±1.11 | 0.978 | |
I cook by myself rather than have processed food. | 3.01±1.00 | 2.95±1.15 | 2.57±0.87 | 2.93±1.05 | 0.031* | |
I refrain from drinking alcohol. | 3.40±1.33 | 3.54±1.40 | 3.82±1.22 | 3.50±1.35 | 0.150 | |
I avoid putting additional seasonings such as salt. | 2.69±1.27 | 2.86±1.26 | 2.88±1.29 | 2.77±1.27 | 0.421 | |
I check nutrition label before purchasing groceries. | 2.67±1.18 | 2.57±1.17 | 2.94±1.13 | 2.67±1.17 | 0.176 | |
I normally drink one or two cups of coffee per day. | 3.33±1.38 | 3.54±1.36 | 3.61±1.30 | 3.44±1.37 | 0.267 | |
I do not smoke. | 4.79±0.76 | 4.72±0.95 | 4.51±1.16 | 4.73±0.89 | 0.141 | |
Sub total (mean±S.D.) | 3.28±0.48 | 3.31±0.51 | 3.38±0.47 | 3.31±0.49 | 0.492 | |
Total (mean±S.D.) | 3.21±0.40 | 3.24±0.42 | 3.27±0.39 | 3.23±0.41 | 0.589 |
건강행동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3.23점, 3개 영역에 대한 각각 평균은 ‘건강습관’ 3.31점, ‘균형잡힌 식생활’ 3.18점, ‘규칙적인 식생활’ 2.91점 순이었다. 항목 중에서는 ‘가공식품을 이용하기보다 직접 요리하여 먹는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3.01점, ‘민간어린이집’ 2.95점, ‘가정어린이집’ 2.57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건강행동은 평균점수는 3.23점으로 Moon CL(2019)의 3.41점보다는 낮고, Kim HH(2011)의 2.50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Moon CL(2019)의 영역별 점수는 ‘건강습관’ 3.49점, ‘균형잡힌 식생활’ 3.29점, ‘규칙적인 식생활’ 3.28점 순서로 본 연구 결과에서도 순서는 동일하였으나 점수는 모두 낮게 나타났고, Kim HH(2011)의 ‘규칙적인 식생활’ 2.98점, ‘건강습관’ 2.89점, ‘균형잡힌 식생활’ 2.82점보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의 점수는 보통 수준으로 건강습관과 식생활 부분의 실천에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항목 중에서는 ‘건강습관’ 영역 중 ‘식품구매 시, 식품영양표시를 확인한다’ 2.67점으로 모든 항목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Moon CL(2019)과 Kwag RY(2015)의 연구에서는 ‘운동을 일주일에 3회 이상한다’ 문항에서 각각 2.81점, 2.89점으로 문항 중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는 본 연구 결과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보육교사의 건강습관이 영유아 급식지도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므로, 보육교사들의 건강행동에 이해와 교육을 통하여 건강행동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건강과 식생활 관련 교육의 연계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영양지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Category | Variables | Tape of day-care center | Total (n=359) |
p-value1) | ||
---|---|---|---|---|---|---|
National·corporate ·workplace (n=187) |
Private (n=123) |
Home (n=49) |
||||
Food habit | Food preference, table manner, and hygienic habits are built in early childhood, and it remains for a long time until they become adults. | 2.97±0.222) | 2.94±0.27 | 2.94±0.32 | 2.96±0.25 | 0.492 |
When making baby food, use more than two sorts of food at the same time. | 2.35±0.73 | 2.52±0.67 | 2.78±0.42 | 2.47±0.69 | <0.001*** | |
Take one hour break after getting snacks, before having a next meal. | 2.30±0.60 | 2.28±0.63 | 2.47±0.68 | 2.31±0.62 | 0.167 | |
When making food for children, use assorted seasonings to provide a variety of tastes and pleasure. | 2.19±0.45 | 2.09±0.44 | 2.22±0.42 | 2.16±0.45 | 0.093 | |
Sub total (mean±S.D.) | 2.45±0.32 | 2.46±0.30 | 2.60±0.26 | 2.47±0.31 | 0.008** | |
Food hygiene and safety | Egg white can easily allergies. | 2.53±0.77 | 2.54±0.75 | 2.65±0.72 | 2.55±0.76 | 0.605 |
It is good for baby’s health under one year old that provide honey mixed milk. | 1.98±0.42 | 1.92±0.42 | 2.00±0.46 | 1.96±0.42 | 0.340 | |
If food poisoning does not appear for 6 hours after meals, you can rest assured. | 2.10±0.61 | 2.02±0.63 | 2.06±0.56 | 2.06±0.61 | 0.522 | |
Sub total (mean±S.D.) | 2.20±0.44 | 2.16±0.40 | 2.24±0.37 | 2.19±0.42 | 0.497 | |
Nutrition | Calcium can be lack easily in early childhood. | 2.06±0.89 | 2.32±0.85 | 2.27±0.84 | 2.18±0.88 | 0.034* |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deficienc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 2.74±0.58 | 2.75±0.59 | 2.82±0.49 | 2.75±0.57 | 0.687 | |
Unlike adults, children need snacks to get more energy to grow up. | 2.97±0.20 | 2.94±0.29 | 2.98±0.14 | 2.96±0.23 | 0.549 | |
Child obesity can increase the risk of adult obesity by increasing fat cells. | 2.89±0.39 | 2.83±0.49 | 2.84±0.43 | 2.86±0.43 | 0.467 | |
Cholesterol is a necessary ingredient in our bodies. | 2.40±0.72 | 2.36±0.65 | 2.43±0.68 | 2.39±0.69 | 0.785 | |
Vitamin D is associated with bone growth. | 2.74±0.61 | 2.75±0.58 | 2.82±0.44 | 2.75±0.58 | 0.694 | |
The higher the grain intake, the higher the required amount of vitamin B. | 1.99±0.86 | 1.95±0.85 | 1.86±0.74 | 1.96±0.84 | 0.616 | |
Sub total (mean±S.D.) | 2.54±0.35 | 2.56±0.37 | 2.57±0.27 | 2.55±0.35 | 0.850 | |
Total (mean±S.D.) | 7.19±1.11 | 7.18±1.07 | 7.41±0.90 | 7.21±1.08 | 0.321 |
영양지식의 전체평균은 14점 만점에 7.21점, 3개 영역 중 ‘식습관’은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2.45점, ‘민간어린이집’ 2.46점, ‘가정어린이집’ 2.64점으로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항목 중에서 ‘이유식을 할 때, 한 번에 2종류 이상의 새로운 음식을 접한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2.35점, ‘민간어린이집’ 2.52점, ‘가정어린이집’ 2.78점으로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01), ‘유아기 초기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은 칼슘이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2.06점, ‘민간어린이집’ 2.32점, ‘가정어린이집’ 2.27점으로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 12점 만점에 7.64점, Lim JH(2016)는 10점 만점에 7.90점으로 나타났고, Yeoh YJ & Kwon SY(2015)의 연구에 따르면 보육교사의 영양 및 위생관련 지식수준은 30점 만점에 평균 14.6점보다 본 연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영양지식 점수는 선행연구들의 평가 내용, 조사 지역, 조사 시기, 조사 대상 등의 부분적인 차이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고, 또한 보육교사 교육 과정 중 건강·영양·안전이 선택교과목으로 이수하지 않아도 학점이 인정되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Lim JH 2016; Moon CL 2019). 보육교사의 영양지식은 개인의 식습관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과 건강에도 영향을 주므로(Lee YH & Kim NH 2015) 보육교사의 영양지식을 높이기 위해 보수교육에서 급식관리, 식생활지도, 그리고 영양관리와 관련된 이수 시간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모든 항목 중에서 ‘곡류(당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 B의 필요량이 증가한다’가 1.9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는 ‘유아기 초기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은 칼슘이다’가 15.8%로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는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영역 중에서는 영유아의 위생·안전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고, 항목들의 각각 점수가 평균 2.55점 미만으로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Kim HH(2011)은 보육교사의 영양지식과 급식지도가 연계된다고 하였으므로 영유아의 식행동과 식생활지도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Moon CL 2019; Lee YC 등 2021), 영양지식에 더 많은 관심과 교육 연계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급식지도에 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Category | Variables | Tape of day-care center | Total (n=359) |
p-value1) | ||
---|---|---|---|---|---|---|
National·corporate ·workplace (n=187) |
Private (n=123) |
Home (n=49) |
||||
Teaching hygiene | I teach children to wash and disinfect their hands before having a meal. | 4.78±0.572) | 4.82±0.41 | 4.88±0.33 | 4.81±0.49 | 0.438 |
I teach children to clean up the table after having a meal. | 4.57±0.68 | 4.51±0.75 | 4.49±0.68 | 4.54±0.70 | 0.702 | |
I teach children to brush their teeth after having a meal. | 4.79±0.57 | 4.76±0.45 | 4.82±0.44 | 4.78±0.52 | 0.745 | |
Sub total (mean±S.D.) | 4.71±0.51 | 4.70±0.45 | 4.73±0.37 | 4.71±0.47 | 0.915 | |
Teaching nutrition | I teach children to chew many times while having a meal. | 4.53±0.71 | 4.54±0.68 | 4.51±0.58 | 4.53±0.68 | 0.974 |
I explain about the taste, smell, texture, and chewiness of the food. | 4.11±0.79 | 4.04±0.88 | 4.14±0.89 | 4.09±0.83 | 0.684 | |
I explain about food ingredients to make children have interests in food. | 4.16±0.81 | 4.08±0.87 | 4.31±0.77 | 4.15±0.83 | 0.270 | |
I teach about the importance of meal and nutrition. | 4.20±0.82 | 4.18±0.88 | 4.27±0.81 | 4.20±0.83 | 0.828 | |
I teach children to have balanced meal. | 4.25±0.87 | 4.38±0.71 | 4.51±0.62 | 4.33±0.79 | 0.074 | |
I teach children not to overeat. | 3.55±1.02 | 3.51±1.12 | 3.39±1.06 | 3.51±1.06 | 0.650 | |
Sub total (mean±S.D.) | 4.13±0.59 | 4.12±0.63 | 4.19±0.63 | 4.14±0.61 | 0.812 | |
Teaching table manner | When food is served, I teach children to keep their turn. | 4.64±0.67 | 4.67±0.49 | 4.78±0.42 | 4.67±0.58 | 0.332 |
I teach children to use cutlery properly such as fork and spoon. | 4.68±0.60 | 4.63±0.53 | 4.76±0.48 | 4.67±0.56 | 0.372 | |
I teach children to start their meal with friends. | 4.22±1.01 | 4.47±0.77 | 4.65±0.60 | 4.37±0.90 | 0.003** | |
I teach children to say “Enjoy your meal”.“Thanks for the meal”, before having a meal. | 4.36±0.85 | 4.38±0.85 | 4.51±0.77 | 4.39±0.84 | 0.539 | |
I teach children to concentrate on their meal, not to play with food. | 4.51±0.73 | 4.61±0.57 | 4.55±0.61 | 4.55±0.66 | 0.417 | |
I teach children to keep a good sitting posture while having a meal. | 4.52±0.73 | 4.62±0.54 | 4.61±0.53 | 4.57±0.64 | 0.358 | |
I teach children not to move around while having a meal. | 4.51±0.74 | 4.55±0.68 | 4.59±0.61 | 4.53±0.70 | 0.712 | |
While having a meal, I teach children not to make sound and also not to open their mouth when having food in their mouth. | 3.64±1.09 | 3.68±1.10 | 3.67±1.09 | 3.66±1.09 | 0.929 | |
I help children to manage their mealtime. | 4.21±0.82 | 4.33±0.72 | 4.33±0.88 | 4.27±0.80 | 0.377 | |
I provide children a chance to share food with teachers and friends. | 3.86±1.17 | 3.93±1.08 | 4.06±0.97 | 3.91±1.12 | 0.496 | |
I teach children to have gratitude their meal. | 4.33±0.73 | 4.28±0.79 | 4.35±0.75 | 4.32±0.75 | 0.830 | |
Sub total (mean±S.D.) | 4.22±0.53 | 4.29±0.45 | 4.42±0.46 | 4.27±0.50 | 0.040* | |
Total (mean±S.D.) | 4.28±0.48 | 4.31±0.43 | 4.41±0.43 | 4.31±0.46 | 0.231 |
급식지도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4.31점,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28점, ‘민간어린이집’ 4.31점, ‘가정어린이집’ 4.41점이고, 영역별 점수는 ‘위생지도’ 4.71점, ‘영양지도’ 4.14점, ‘식사예절지도’ 4.27점으로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나 영유아의 식생활 및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급식지도에 대한 3개 영역 중 ‘식사예절지도’에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22점, ‘민간어린이집’ 4.29점, ‘가정어린이집’ 4.42점으로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항목 중에서는 ‘친구들과 다 함께 식사를 시작하도록 지도한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22점, ‘민간어린이집’ 4.47점, ‘가정어린이집’ 4.65점으로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는 5점 만점에 4.24점과 영역 중에서 ‘위생지도’가 4.5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본 결과에서는 영역 중에서 ‘위생지도’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동일하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전국적으로 위생관련 지침이 강화되었고, 면연력이 약한 영유아가 이용하는 보육시설의 급식지도에서 특히 위생관리가 강조된 것이 본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급식지도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였는데, 이는 가정어린이집이 경우 교사가 관리해야 하는 영유아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더 효율적으로 급식지도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Rho JO 등(2010)의 연구에서도 급식지도시 위생적인 면을 더 강조한 것은 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영유아기는 외부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 높고, 면역체계는 아직 불완전하여 급식에서 기본적인 위생관리가 잘 지켜지지 못하는 곳에서는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영유아 위생관리가 중요하다(Bae HJ 등 2009). 또한 보육시설에서 영유아 수가 증가하면 급식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급식관리와 위생·안전이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Seo YJ & Jeon MS 2015).
문항별로 보았을 때 ‘식사 전 손 씻기, 손 소독을 지도한다’는 4.81점으로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 4.64점보다 본 연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입을 다물고 소리내어 먹지 않도록 지도한다’ 3.66점, ‘친구, 선생님과 나눠 먹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91점으로 점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국가차원에서 손씻기를 장려하고,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에서 12점 만점에 7.64점, Lim JH(2016)는 10점 만점에 7.90점으로 나타났고, Yeoh YJ & Kwon SY(2015)의 연구에 따르면 보육교사의 영양 및 위생관련 지식수준은 30점 만점에 평균 14.6점보다 본 연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 그리고 급식지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급식에 대한 인식과 급식지도(r=0.306,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행동과 영양지식(r=0.205,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지식과 급식지도(r=0.135,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유아의 어린이 급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급식지도가 높아지고, 건강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으며, 영양지식이 높을수록 급식지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oon CL(2019)의 전북지역 연구의 급식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급식지도, 건강행동, 영양지식이 높은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고, Kim HH(2011)의 식생활이 바람직하고 영양지식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급식지도를 잘한다는 보고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Variables | Perception of food service | Health behavior | Nutritional knowledge | Food service guidance |
---|---|---|---|---|
Perception of food service | 11) | |||
Health behavior | 0.065 (0.213) | 1 | ||
Nutritional knowledge | 0.088 (0.094) | 0.205 (<0.001)*** | 1 | |
Food service guidance | 0.306 (<0.001)*** | 0.041 (0.440) | 0.135 (0.010)* | 1 |
강원특별자치도의 2023년 어린이집 847개 시설 중 보육교직원 수는 9,889명이고 그 중 영양사는 17명(0.001%)으로(MOHW 2024), 영양사 수가 매우 낮아 보육시설의 영양전문가가 식생활교육이나 급식지도를 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보육교사를 통한 급식지도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보육사업 안내에 따르면 2015년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은 총 6영역 19과목으로 40시간 중 건강·영양·안전영역은 각각 2시간이 배정되어 6시간이었으나, 2016∼2019년에는 영유아 영양, 급식관리, 식생활지도에 관련된 내용이 제외되어 어린이집 교사의 35.03%가 급식지도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Lim JH 2016), Lee KW 등(2015)은 보육교사들은 상식과 경험에 의존하여 급식지도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영유아의 건강한 식생활교육과 급식지도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에서 식생활교육과 급식지도 관련 교육이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지역의 일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 급식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강원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건강행동, 영양지식, 그리고 급식지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일반적 특성에서 평균연령은 39.22세이고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37.11세, ‘민간어린이집’ 40.44세, ‘가정어린이집’ 44.22세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연령별 비율은 각 군별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연령대가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은 ‘20∼29세’ 34.2%,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은 ‘40∼49세’ 각각 42.3%, 44.9%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기혼비율은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57.5%, ‘민간어린이집’ 72.4%, ‘가정어린이집’ 93.9%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으며, 담당 유아연령은 0∼3세 비율이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59.9%, ‘민간어린이집’ 71.5%, ‘가정어린이집’ 87.8%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4.51점으로 전반적으로 인식이 높고, 급식지도 영역에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58점, ‘민간어린이집’ 4.47점, ‘가정어린이집’ 4.33점으로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항목 중에서 ‘급식을 통해 균형 잡힌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p<0.01), ‘급식은 다양한 음식을 접하는 기회가 된다’(p<0.01), 그리고 ‘급식을 통해 감사와 배려에 대하여 배울 수 있다’(p<0.05)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동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3.23점, 3개 영역에 대한 각각 평균은 ‘건강습관’ 3.31점, ‘균형잡힌 식생활’ 3.18점, ‘규칙적인 식생활’ 2.91점 순이었다. 항목 중에서는 ‘가공식품을 이용하기보다 직접 요리하여 먹는다’는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지식의 전체평균은 14점 만점에 7.21점, 3개 영역 중 ‘식습관’ 영역에서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항목 중에서 ‘이유식을 할 때, 한 번에 2종류 이상의 새로운 음식을 접한다’(p<0.001)는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아기 초기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은 칼슘이다’(p<0.05)는 민간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급식지도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4.31점, ‘국공립·법인·직장어린이집’ 4.28점, ‘민간어린이집’ 4.31점, ‘가정어린이집’ 4.41점 순으로 나타났고, 3개 영역 중 ‘식사예절지도’ 영역(p<0.05)과 ‘친구들과 다 함께 식사를 시작하도록 지도한다’가 항목에서는 가정어린이집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과 급식지도(p<0.001), 건강행동과 영양지식(p<0.001), 그리고 영양지식과 급식지도(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급식에 대한 인식, 급식지도, 건강행동과 영양지식, 그리고 영양지식과 급식지도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행동과 영양지식은 보통 수준으로 더 나은 급식지도를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건강행동과 식생활 지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보육교사들의 급식지도에 관한 기초 연구로 의미가 있고, 건강행동, 영양지도, 그리고 급식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며, 추후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다양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22년도 상지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1. | Bae HJ, Lee HY, Ryu K (2009)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 283-296. |
2. | Center for Children’s and Social Welfare Foodservice Management (2024) What is the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https://dietary4u.mfds.go.kr (accessed on 6. 5. 2024). |
3. | Choi KS (2010)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1): 137-148. |
4. | Ha JH, Kim YE (2014)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utritional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to their feeding behavior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4(4): 71-85. |
5. | Kim GY (2020)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ugar and meal at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of teacher in daycare center in Jeonbuk Area. M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pp 1-20. |
6. | Kim HH (2011) The influences of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al guidance for preschoolers. M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pp 1-10. |
7. | Kim JW, Lee EJ, Sang EY (2020) Establishment of a “food life classroom” platform for sustainable f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4): 47-64. |
8. | Kwag RY (2015) The influences of recognition of school meal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on meal guidance school-aged childre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p 91-100. |
9. | Kwon SY, Suh YS (2012) Study of eco-friendly practices regarding meals and snacks at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8(4): 77-96. |
10. | Lee KW, Nam HW, Myung CO, Park YS (2015) Nutrition knowledge and guidance activities during meal time of day-care center teach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5): 623-631. |
11. | Lee YC, Lee KA, Kim JW (202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food competency evaluation tool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4(2): 43-63. |
12. | Lee YH, Kim NH (2015)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4): 19-37. |
13. | Lim JH (2016) A study on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nutritional education demands among child care teacher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p 1-20. |
14.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24) 2023 Childcare Statistics. https://www.mohw.go.kr (accessed on 6. 5. 2024). |
15.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hildcare Promotion Agency [MOHW & KCPI] (2022) 2022 Day-care Center Evaluation Manual (for Day-care Center). https://www.kcpi.or.kr (accessed on 6. 5. 2024). |
16. | Moon CL (2019) A study on the preception of food service, health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interest about sustainable diets and meal guida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in Jeonbuk Area. M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pp 1-69. |
17. | Rho JO, Lee SI, Lee JS (2010)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 education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of Korea. Korean J Food Nutr 23(3): 342-351. |
18. | Seo YJ, Jeon MS (2015)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sanitation status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6): 447-459. |
19. | Yeoh YJ, Kwon SY (2015) Children’s eating and teacher’s feeding practices during mealtime at child-care center. J Nutr Health 48(1): 71-80. |
20. | Yoon JS, Kim HC, Kim MR (2013) Analysis on knowledge, behaviors and education content need regarding green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atus in Daugu and Gyeongbuk regi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4): 1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