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Original research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30, No. 2, pp.101-116
ISSN: 1225-6781 (Print) 2288-88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11 Feb 2020 Revised 14 Apr 2020 Accepted 20 Apr 2020
DOI: https://doi.org/10.17495/easdl.2020.4.30.2.101

중국의 약선(藥膳) 식이요법 분야 연구현황 분석 : 2016∼2018년 자료를 중심으로

최윤희1 ; 차경희2,
1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부교수
2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교수
Analysis on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Yun-Hee Choi1 ; Gyung-Hee Cha2,
1Associate Professor, Dept. of Oriental Medicine & Healthcare, Wonkwang Digital University, Jeollabuk 54538, Republic of Korea
2Professor, Dept. of Korean Cuisine, Jeonju University, Jeollabuk 54538,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Gyung-Hee Cha, Fax: +82-63-220-2736, E-mail: injeulmi@jju.ac.kr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Yaksun (藥膳) studies in China to provide information and promote research. We collected 451 research articles on Yaksun study results from the CNKI system using the keywords ‘Yaoshan (藥膳)’, and ‘Zhongyishiliao (中醫食療)’ from 2016 to 2018. The research type on Yaksun study were 182 clinical studies (40.35%), 11 experimental studies (2.44%), 173 literature studies (38.36%), and 85 survey studies (18.85%). The research subjects were as follows: 93.4% in the Medicine & Public Health field, and 81.9% in the Chinese medicine field. In terms of disease classification,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and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Diabetes was the most studied disease with 36 papers published. Guangdong, Beijing, Jiangsu, and Sichuan were found to be the areas with the most research.

Keywords:

Chinese Yaksun(藥膳), traditional dietary knowledge, research trends, review, CNKI

서 론

‘얼마나 오래 사는가?’가 중시되었던 20세기와 달리 21세기는 기대수명은 길어졌지만 ‘어떻게 오래 사는가?’가 의학의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생물의학적 요인 외에도 환경요인, 생활습관 요인 등 복합요인에 의한 만성질환의 이환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Statistics Korea 2018), ‘2018년 건강보험 주요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총 31조 6,527억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40.8%를 차지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도 378,657원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이러한 현실은 건강과 질병 예방을 위한 관리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양관리를 포함한 보건의료계의 질병 예방관리는 그 어느 때보다 중시되고 있고, 그와 관련된 식품산업(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과 식생활 교육 등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Katcher HI 등 2008; Lee MS 등 2008; Zhang SX 등 2011; Lee JY 등 2017). 특히 우리 전통 문화의 가치가 중시되면서 약선을 포함한 한식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건강한 식문화를 알리고자 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Han BJ 1996; Chung HK 등 2011; Kang M 등 2012).

약선(藥膳)은 글자 그대로 ‘약이 되는 음식’을 말한다.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체계에서는 자연현상을 관찰하여 종합적, 통일적 사변체계를 세우고, 그것을 통해 사회현상과 생명현상까지도 해석하고 응용해 왔다. 이러한 학문체계에서는 음식에 쓰이는 식재료나 약에 쓰이는 약재료가 동일한 이론을 통해 해석되고 활용되어 왔다. 이것을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고 한다. 음식으로 치료하는 것이나, 약으로 치료하는 것은 그 바탕이 되는 이론과 응용원리가 같다는 의미로 ‘의식동원(醫食同源)’이라고도 한다. 약선은 이러한 전통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음식이다. 약선을 이용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하는 것을 식치(食治)라고 한다. ‘약선’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는 남북조(南北朝) 시대에 쓰여진『후한서(後漢書)』의 열녀전(列女傳)에 처음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후로는 잘 쓰이지 않아 문맥상으로 ‘약(藥)’과 ‘음식(膳)’이라는 병렬구조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Fan N 등 2016). 이후 ‘약선’이라는 용어의 출현은 1980년도 중국의 사천성 성도(成都)에 ‘Tongrentang Yaoshancanting(同仁堂藥膳餐廳)’이라는 약선 식당이 오픈되면서 재개되었다.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함께 일본에서도 약선 식당들이 개업하고,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졌다(Ma D 1995). 이러한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2000년대 초반에 알려지기 시작해 지금은 한(韓), 중(中), 일(日) 삼국에서 ‘약선’이라는 분야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자리매김한 상태이다.

『주례(周禮)』에 기록되어 있는 의사제도에 ‘식의(食醫)’가 등장하면서 음식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것에 대한 인식은 이미 주(周)나라 때부터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한 분야로 독립되기 시작한 것은 당대(唐代)의 의사 손사막(孫思邈)이 그의 저서 『천금방(千金方)』 26권에 식치(食治) 항목을 별도로 두면서부터라고도 보는 견해도 있다(Peng M 1991; Wong W 1992; Tan X 2003; Ahn S 등 2008). 우리나라도 고려시대에 어찬(御饌)을 담당하는 사선서(司膳署)에 식의(食醫)를 따로 두고 있었다(Kim H 2008). 조선 전기에 식치 전문서인 전순의(全循義)의 『식료찬요(食療纂要)』가 출간되면서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분야가 전문적으로 발전하였다. 약선과 이를 이용한 식이요법인 식치는 의학의 한 분야로 발전하는 동시에 음식을 매개로 하는 특성으로 인해 음식 재료의 재배와 채취 등 생산과 관련된 농서(農書), 주요 산지 등과 관련된 지리지(地理志), 음식문화와 조리방법에 관련된 조리서(調理書) 등에 두루 기록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여러 학문분야와 복합적으로 연계되는 학문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약선에 관한 연구도 한의학 분야에서의 문헌 연구와 약선 재료나 처방의 효능평가 연구뿐 아니라, 식품의 품질 특성과 영양성분 분석, 효능평가 등 식품영양학 분야, 식문화 관련 문헌 연구와 외식경영, 관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Han SY 등 2015). 그러나 연구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여러 학문 분야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특성으로 그간의 약선과 식치(食治)분야의 연구는 다른 식품영양분야 혹은 한의학연구에 비해서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약선에 대한 대중적 이해가 전제되어 있고, 전통의학인 한의학과 중의학이라는 공통된 학문영역이 존재하면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약선 식이요법 연구에 대한 연구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약선에 관심 있는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연구기획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학제 간 공동연구의 필요성과 동기를 제공하여 약선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중국의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논문검색사이트인 CNKI(中國知網, http://www.cnki.net/) 검색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중의학 데이터베이스인 TCMD(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atabase, http://gb.tcm.cnki.net/)를 이용하였다. 2016년∼2018년까지 3년 동안 ‘약선(藥膳)’, ‘중의식료(中醫食療)’를 주제어(主題, subject)로 검색되는 정기간행물(期刊)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약선 분야 연구 키워드로 많이 쓰이는 식치(食治)의 경우 중국에서는 영양학에 기반을 둔 임상영양학과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논문이 혼재되어 연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외하였다. 식료(食療)의 경우 또한 식치와 유사한 사례가 많아 ‘중의식료(中醫食療)’로 주제어를 한정하여 검색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총 1,019편으로 제목을 포함한 서지사항과 초록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CNKI의 연구수준(硏究層次, research level)에 따른 분류체계에서 대중과학(大衆科普, popular Science for the populace)에 해당하는 192편과 대중문화(大衆文化, popular culture)에 해당하는 206편은 학술논문의 성격보다는 약선 메뉴나 재료에 대한 단순소개, 약선을 이용한 양생 방법 등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짧은 기고문이 대다수라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그 외 일반 공지 등을 포함한 저자불명 76편, 광고 6편, 중복논문 69편, 약선 메뉴나 재료를 소개한 단문 19편을 제외한 총 451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2. 분석방법

조사된 자료는 발표연도, 발표지역, 발표저널 현황, 연구방법, 연구수준(硏究層次),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발표 연도와 지역, 저널 현황은 서지사항을 참고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Han SY 등(2015) 등의 약선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임상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조사연구 4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수준(硏究層次, research level)’은 CNKI 중의학데이터 베이스에서 문헌을 그룹핑(grouping)하는 카테고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연구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subject)’ 검색과 달리 발표되는 문헌들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기에 본 연구에 포함시켰다. 연구수준 분류기준은 대중문화(大众文化, popular culture), 대중과학(大众科普, popular science for the populace), 자연과학분야 고급대중과학(高级科普(自科), Higher Popular Science(Natural Science)), 공학기술(工程技術(自科), Engineering & Technology (Natural Science)), 자연과학분야 기초 및 응용기초연구(基础与應應用基础硏究(自科), Basic & Applied research (Natural Science)), 자연과학분야 산업기술지도(行業技術指导(自科), Guidance of Trade technology (Natural Science)), 자연과학분야 전공실용기술(專業實用技術(自科), Practical Techniques of Trade(Natural Science)), 자연과학분야 정책연구(政策研究(自科), Policy Research(Natural Science)), 사회과학분야 기초연구(基础研究(社科), Basic Research (Social Science)), 사회과학분야 산업지도(行業指导(社科), Trade Guidance (Social Science)), 사회과학분야 직업지도(职業指导(社科), Vocational Guidance(Social Science)), 사회과학분야 정책연구(政策研究(社科), Policy Research (Social Science)), 기초교육과 중등교육(基础教育与中等教育, Primary and Vocational Education), 고등교육(高等教育, Higher Education), 경제정보(经济信息, Economic Information), 문예작품(文艺作品, Literature & Art works), 정보공시(政报、公报、公告、文告, Gazette, Bulletin & Proclamation), 당건설과당원교육(党的建设与党员教育) 등 총 18개 분야이다.

연구내용에 대한 분석은 주로 CNKI의 주제어(主題, Subjects) 검색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주제어의 분류는 크게 기초과학(基礎科學, Mathematics/physics/mechanics/astronomy), 공학기술Ⅰ(工程科技Ⅰ, Chemistry/metallurgy/environment/mine industry), 공학기술Ⅱ(工程科技Ⅱ, Architecture/Energy/Traffic/Electromechanics, etc.), 농업과학기술(农業科技, Agriculture), 의약위생과학기술(医药卫生科技, Medicine & public health), 철학과인문과학(哲学与人文科学, Literature/History/Philosophy), 사회과학Ⅰ(社会科学Ⅰ, Politics/military affairs/law), 사회과학Ⅱ(社会科学Ⅱ, Education & social sciences), 정보기술과학(信息科技, Electronic technology & information Science), 경제와 경영학(经济与管理科学, Economics & management) 10대 전문분야(專辑)로 대분류하고, 그 하위에 168개 중분류기준인 전문주제(專题)를 두고 있으며, 각각의 중분류 기준 아래 다시 소분류, 세분류를 각각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선 관련 논문의 학문 분야와 연구내용의 대략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인 451편의 논문을 CNKI 주제분류 체계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별로 각각 조사, 분석하였고, 가장 많은 연구가 발표된 의약위생과학기술분야의 경우는 소분류까지 분석하였다.

또한 약선에 관한 연구가 주로 어떤 질병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경향 파악을 위해 논문의 제목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질병분류정보센터(KOICD)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체계에 따라 연구된 질병 분야로 분류하고(Korea Information classification of Disease 2019), 노인질환과 소아과 질환, 그리고 질병 분류기준에 넣기에 명확하지 않은 것은 기타 항목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용어의 사용은 본 연구가 중국의 CNKI 논문검색사이트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되었기에 CNKI에서 사용된 용어의 경우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로 번역한 용어와 중문 원문과 CNKI 영문사이트에서 표기된 영문을 함께 명시하되, 가독성을 위해 첫 사용을 제외하고는 되도록 한글 용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고찰

1. 연도별 발표현황 분석

CNKI 검색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중의학 데이터베이스인 TCMD(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atabase)를 이용하여 2016년에서 2018년까지 3년간 약선 및 중의식료를 주제어로 검색된 정기간행물에 발표된 논문은 총 451편이었다. 연도별 발표현황은 Fig. 1과 같이 2016년 161편, 2017년 152편, 2018년 138편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평균 발표 편수는 150.3편이었다. 2016년에 비해 2018년이 14.3% 감소하였는데, 명확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다.

Fig. 1.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per year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2. 논문의 지역별 발표현황 분석

약선 관련 연구의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발표된 논문의 저자 소속을 기준으로 지역분포를 분석하여 발표논문 편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Main location of published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지역은 광동성(廣東省, Guangdong) 54편, 북경(北京市, Beijing) 43편, 사천성(四川省, Sichuan) 34편, 강소성(江蘇省, Jiangsu) 33편 순으로 나타났고, 소속이 명기되지 않아 지역을 지정할 수 없었던 논문은 7편이었다. 이는 Nie H 등(2016)의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발표된 중의 식료(中醫食療) 문헌에 대한 연구에서 북경, 강소, 절강, 사천, 광동 등의 순으로 발표가 많았다는 결과와 비교할 때 순위는 다르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Nie H 등(2016)의 연구에서 각 지역별 연구 특징에 대한 내용은 다뤄지고 있지 않아 결과를 비교할 수 없으나, 본 연구의 조사 결과, 광동성의 경우 임상연구가 28편으로 문헌연구나 조사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분야별로는 부인과 관련된 논문(10편)과 약선교육 관련 논문(4편)이 많은 것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북경의 경우, 광동성 다음으로 논문의 양은 많지만 약선 이론과 원전 등 문헌연구가 27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임상은 6편에 그쳤다. 20편 이상이 발표된 지역 중 광서장족자치구 (20편)의 경우 자치구 중에서는 가장 활발하게 약선 연구가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소수민족 관련 연구가 4편이 발표되었다. 10편 이상이 발표된 지역 중 안휘성(安徽省)의 경우 16편 중 9편이 동일연구기관, 동일 연구자에 의한 소아(小兒)의 체질 관련 연구로 나타났다. 지역별 1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으로는 광동성의 광주중의약대학(廣州中醫藥大學) 18편, 호남성(湖南省)의 호남중의약대학(湖南中醫藥大學) 18편, 북경시(北京市) 북경중의약대학(北京中醫藥大學) 17편, 사천성 성도중의약대학(成都中醫藥大學) 17편, 안휘성 안휘중의약고등전과학교(安徽中医药高等專科学校) 12편으로 대부분 중의약대학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논문의 지역별 데이터는 향후 약선 연구자 간 협업과 경험 공유가 필요할 경우 어떤 분야의 연구가 어느 지역에서 특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발표저널 현황 분석

약선 관련 논문들을 발표한 저널은 Table 2와 같이 총 191종이었다. 이중 5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된 저널은 Table 3과 같이 총 20종으로, 185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전체 연구대상 논문의 41.0%를 차지하였다. 4편 이하 2편 이상이 발표된 저널은 64종으로 15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1편만 발표된 저널은 106종으로 전체 저널의 55.5%, 발표논문의 23.5%였다.

Classification of the journal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Journal wtin ≥5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각 저널의 분야별 발표현황을 살펴보면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의 저널이 164종으로 가장 많았고, 5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된 20종의 저널은 모두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 저널이었다. 농업과학기술 분야에 속하는 저널은 총 3종으로 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사회과학Ⅱ 분야에 속하는 저널은 8종으로 8편의 논문이, 경제와 경영 분야는 4종에 4편의 논문이, 과학 기술Ⅰ분야는 3종에 5편이, 기초과학은 2종에 2편이 발표되었다. 소속 분야가 명시되지 않은 7종의 저널에 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저널의 발행지역으로는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저널을 기준으로 볼 때 북경은 9종으로 여전히 가장 많았고, 광동성, 내몽고자치구가 2종으로 각각 나타났다. 나머지 호북, 운남, 요녕, 호남, 사천, 감숙, 상해지역은 각각 1종이었다. 발표 논문의 지역별 현황과 비교하면 북경시는 중국의 수도로 행정기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술단체의 중앙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러 분야의 학술저널의 발행이 활성화되어 있고, 그로 인해 발행저널과 발표된 논문 모두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광동성의 경우 약선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기는 했으나, 지역에서 발행되는 저널은 10종이었다. 그 중 5편 이상 발표된 저널은 2종이며, 그 10편을 제외한 44편은 광동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학술저널에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동성과 달리 내몽고자치구는 3편의 논문만 발표된 것에 비해 발행하는 2종의 저널에서 2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발표기관의 지역분포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지역의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된 저널에는 세계최신의학신식문적(世界最新医学信息文摘, World Latest Medicine Information) 18편, 아태전통의약(亚太传统医药, Asia-Pacific Traditional Medicine) 16편, 내몽고중의약(内蒙古中医药, Nei Mongo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5편, 중화중의약잡지(中华中医药杂志,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운남중의중약잡지(云南中医中药杂志, Yunn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Materia Medica), 광명중의(光明中医, Guangming Journal of Chinese Medicine)가 각각 11편, 실용중의내과잡지(實用中医内科杂志, Journal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Internal Medicine)가 10편으로 나타났다. Song C 등(2017)의 2012년에서 2015년 사이 발표된 중의선식류(中醫膳食類) 문헌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내몽고중의약(内蒙古中医药), 중국중의약현대원정교육(中国中医药现代远程教育), 실용중의내과잡지(實用中医内科杂志), 광명중의(光明中医), 아태전통의약(亚太传统医药), 중화중의약잡지(中华中医药杂志), 호리연구(护理研究) 등은 약선과 식치관련 논문 발표 빈도가 지속적으로 높은 저널로 판단된다.

4. 연구방법에 따른 현황 분석

약선 관련 전체 논문을 임상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조사연구 4개 분야로 나누어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Research type of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임상연구가 182편(40.3%), 실험연구 11편(2.4%), 문헌연구 173편(38.3%), 조사연구 85편(18.8%)으로 나타났다. 이는 Han SY 등(2015)의 국내에서 진행된 약선 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에서 설문조사 연구가 52.7%로 가장 많고, 문헌연구 20.4%, 실험연구 19.4%, 임상연구가 7.5%로 조사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문헌연구는 주로 원전연구과 리뷰논문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2017년에는 47편으로 2016년 66편, 2018년 60편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조사연구는 주로 교육, 산업, 인지도 등의 설문조사와 유명 임상의(臨床醫)들의 임상경험에 대한 면담 조사, 소수민족의학에 대한 탐문 조사가 포함되었고, 2016년 27편, 2017년 30편, 2018년 28편이 발표되었다. 그 중 묘족(苗族), 이족(彝族), 동족(侗族), 여족(畬族), 요족(瑤族), 장족(壯族) 등 각 지역별 소수민족들의 식양생(食養生) 문화와 약선 자원 조사연구는 향후 다른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식문화 특징과 비교분석하고, 식문화와 전통의학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연구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연구는 11편으로 가장 적었으나, 2016년 2편, 2017년 3편에 비해 2018년도에는 6편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로 약선 처방들의 동물실험에서의 효능평가 연구로 향후 우리나라의 약선 처방 효능평가 연구방법에 대한 참고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연구로는 약선 오즙음(五汁飮)중 생노근과 생맥문동 추출공정에 대한 연구(Chen G 등 2018), 약선나한고(藥膳羅漢膏) 추출공정에 대한 연구(Huang J 등 2017) 등 가공 관련 연구와 기약계금죽(芪藥鷄金粥)이 fluorouracil로 유발된 위장점막손상 렛드에 미치는 영향(Chen T 등 2016), 단삼황기즉어약선탕(丹蔘黃芪鯽魚藥膳湯)이 렛드의 초기 동맥죽상경화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Tang N 등 2016), 사군자탕가황기(四君子湯加黃芪) 약선이 렛드의 항노화지표에 미치는 영향(Shi D & Zhang J 2017), 기약계금죽(芪藥鷄金粥)이 Chemotherapy 후 유발된 렛드의 장상피 접합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의 TLR4/NF-κB pathway에 대한 연구(Chen T 등 2017), 산사천마(山楂天麻) 약선의 고지혈증 마우스의 혈중지질 강하작용에 대한 연구(Shi X 2018b), 천마구등약선의 고혈압 렛드에 대한 효능연구(Shi X 2018a), 보신약선방(補腎藥膳方)이 폐경기 골다공증 모형렛드에서의 CTX-Ⅰ지표와 골조직 형태에 대한 영향(Lin J 등 2018), 약선개입이 노화쥐 골격근에 미치는 항산화효과(Li W & Liu X 2018) 등이 발표되었다. 임상연구는 2016년 66편, 2017년 72편, 2018년 44편으로 2017년에 비해 38.8%가 감소되었다.

5. 연구수준(硏究層次, Research Level) 분석

약선 관련 논문들의 연구수준에 대한 정보를 연도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약선 관련 논문들은 정보공시 등 8개 분류기준을 제외한 10개 분류기준에 분포되어 있는데, 공학기술(工程技術(自科)) 분야가 274편으로 가장 많았다. 자연과학분야 기초 및 응용기초연구(基础与應用基础硏究(自科)) 81편, 자연과학분야 산업기술지도(行業技術指导·自科) 15편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 분야 기초연구 등을 포함한 그 외는 10편 이하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약선 관련 논문들이 사회과학 분야보다는 자연과학 분야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아직 연구수준을 결정되지 않고 보류된(暂无分组数据. unclassified research level) 문헌이 총 56편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외되기는 하였으나 대중과학과 대중문화 분야가 총 398편으로 연구대상이 된 451편 논문의 88.2%에 해당하고 있어 전문연구뿐만 아니라, 대중기고문도 활발히 발표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Research level in published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6. 연구내용 분석

약선 관련 논문의 학문 분야와 연구내용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인 451편의 논문을 CNKI 주제 분류체계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별로 각각 분석 고찰하였다.

1) 주제의 대분류 기준에 따른 연구내용 분석

451편 중 연구주제 분야가 2개 분야에 중복되는 논문은 총 23편이었다. 전체 10개의 대분류 중 7개 대분류에서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수학, 물리학 등이 포함된 기초과학 분야와 기계, 건축학 등이 포함된 공학기술Ⅱ, 정치, 법학 등이 포함된 사회과학Ⅰ 분야는 발표된 논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개 분야에서 논문이 발표되기는 하였으나,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의 논문이 총 443편으로 전체의 93.4%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공학기술Ⅰ분야가 8편, 농업과학기술이 1편, 철학과인문학이 5편, 사회과학Ⅱ분야가 7편, 정보과학기술 5편, 경제와 경영학이 5편으로 각각 나타났다(Table 6). Han SY 등(2015)의 약선 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재단 주제 분류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조리과학과 식품영양학 등 식품과학 분야가 30.1%로 가장 많았고, 관광학(15.9%), 가정학(15.1%), 지리역사학(11.9%), 경영학(8.7%), 한의학(7.1%)으로 순으로 나타난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약선 식품의 효능평가나 약선 식품 품질특성 등과 같은 연구가 중국의 약선 연구에서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나라 연구재단의 주제분류에서는 식품영양학 연구 분야가 자연과학 분야 하위, 생활과학 분야의 한 영역으로 전문화되어 있는데(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999) 반해, 중국의 경우 공학기술Ⅰ 영역에 ‘식품공업’이, 의약위생과학기술 영역에 예방의학 하위로 ‘영양위생식품위생’이 분리되어 있다. 또한 식품학과 영양학이 구체적으로 세분화되지 않으며, 특히 ‘임상영양학’ 연구 분야가 분류체계에 들어있지 않아 임상영양학 관련 연구는 대부분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 특히 간호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Research subjects–major category of subject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2) 주제의 중분류 기준에 따른 연구내용 분석

중분류 기준에 따른 내용분석에서는 발표논문이 없었던 기초과학, 공학기술Ⅱ, 사회과학Ⅰ분야는 제외하고, 논문이 발표된 7개 분야별 123개 중분류 목록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Table 7과 같다.

Research subjects–sub category of subject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공학기술(工程科技)Ⅰ 분야는 전체 14개 중분류 중 일반서비스업(一般服务業), 경공업·수공업(轻工業手工業), 화학(化学) 3개 분류에서 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중 6편이 일반서비스업 분야로 그 중 4편은 중의학 분야와 중복된 연구였다. 농업과학기술 분야는 10개 중분류 중 축목, 동물의학분야에 1편이었다. 철학과 인문과학(哲学与人文科学) 분야는 24개 중분류에서 외국언어문자(外国语言文字), 중국문학(中国文学), 중국통사(中国通史), 중국근현대사(中国近现代史) 4개 중분류,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약선의 영문번역과 관련한 Qian C(2018), Wang N(2017) 등의 연구 2편, 청대(淸代) 귀족 상류층의 식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소설 『홍루몽(紅樓夢)』의 양생사상에 대한 연구(Son T 2017) 1편, 송(宋)과 금원(金元) 시대의 양생사상에 대한 Xi P 등(2016)의 연구, 연안(延安)시기 중의식료문화에 대한 연구(Wen J 2016) 1편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약선의 영문번역과 관련된 연구의 경우, 중국의 식문화와 약선을 해외에 소개하고, 전파시키기 위해 약선의 명칭, 약선 성분, 약선 조리방법, 약선 효능 4개 분야로 번역영역을 세분하여 가독성과 효율적인 의미전달을 위한 번역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식문화와 약선을 소개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그 참고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과학(社会科学)Ⅱ 분야에서는 13개 중분류 중 교육이론과 교육관리(教育理论与教育管理), 고등교육(高等教育), 직업교육(职業教育) 3개 분야에서 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주로 약선 교육의 교육과정과 교학방법 및 온라인교육에 대한 연구(Zhang Y 등 2016; Yuan W 2017; Yu Z & Wu X 2017; Shi H 등 2017; Fan W 2018)가 포함되어 있다. 정보과학기술(信息科技)에서는 10개 중분류 중 도서 정보와 디지털도서관(图书情报与数字图书馆) 등 3개 분야에서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중의식료(中醫食療), 중의선식(中醫膳食), 간호학에 대한 문헌과 연구현황에 대한 Nie H 등 (2016), Song C 등(2017), Zhao C 등(2017)의 리뷰논문과 위쳇플렛폼을 이용한 노인보건과 약선에 대한 연구(Zhou B 2016),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고혈압에 대한 중의양생보건 현황에 대한 연구(Wang L 등 2018) 등이 포함되었다. 경제와 경영학(经济与管理科学)분야에서는 24개 중분류 중 3개 분야에서 약선과 양생(養生) 문화자원을 이용한 Wang F(2017)Liu D 등(2016)의 지역관광 사업에 관한 관광(旅游) 분야와 무역경제(贸易经济), 공업경제(工業经济) 분야 연구가 포함되었다.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는 28개 중분류 중 16개 분야에서 443편이 발표되었고, 그 중에서도 중의학(中醫學)분야가 363편으로 전체의 76.6%,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의 81.9%를 차지하였다.

3) 의약위생과학기술(医药卫生科技) 분야 소분류 기준에 따른 연구내용 분석

CNKI 문헌분류 분류체계에 따라 대분류와 중분류를 살펴본 결과,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가 전체 논문의 93.4%를 차지하고 있고, 기타 분야의 경우 중분류에 따른 분석에서 해당 각 분야의 논문들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에 소분류에 따른 연구내용 분석은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medicine & public healt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의약위생방침정책과 법률법규연구(医药卫生方针政策与法律法规研究, Policy and Law Research of Medicine and Sanitation) 분야는 2편으로 상해시(上海市) 지역사회 의료와 양생을 결합한 중의약서비스 현황조사(Xu F 등 2017) 등에 대한 조사연구가 포함되었다. 의학교육과 의학변연학과(医学教育与医学边缘学科, Medical Education and Brink Discipline) 분야는 의학교육(医学教育) 2편, 의학도서정보 및 관련기구, 단체, 회의(医学图书情报及相关机构、团体、会议) 분야 1편, 의학사(医学史) 분야 1편이 포함되었다. 예방의학과 위생학(预防医学与卫生学,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분야에서는 진폐증의 재활 관련 리뷰논문(Li A 등 2016), 전통영양학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Qi X(2016)의 연구, 사군차(四君茶)에 대한 Liu Y 등(2017)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중의학(中医学,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분야는 가장 많은 36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중의임상학(中医临床学) 분야가 175편, 중의내과(中医内科) 분야가 90편, 양생(養生) 내용이 포함된 중국의학(中国医学) 분야가 22편, 중의소아과(中医儿科) 18편, 중의산부인과(中医妇产科) 15편, 중의종양과(中医肿瘤科) 12편, 중국소수민족의학(中国少数民族医学) 10편으로 각각 나타났다. 그 외 중의기초이론(中医基础理论), 중의외과(中医外科), 중의골상과(中医骨伤科), 중의피부과(中医皮科), 중의비뇨학(中医泌尿学), 중의신경병학과 정신병학(中医神经病学与精神病学) 분야 논문은 5편 이하로 나타났다. 중의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중의임상학 분야의 하위 분류를 살펴보면 중의간호학(中医护理学)이 67편, 중의치료학 하위의 식양식료(食养食疗)로 분류된 논문이 65편으로 나타났다. 중약학(中药学,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분야는 방제학 분야가 6편, 본초 1편, 중약약리 9편, 중약재 5편, 중약포제·제제 2편, 중약화학 3편으로 6개 소분야에서 2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임상의학(临床医学Clinical Medicine)은 14편으로, 영양회진 개입이 만성질환 환자의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Xu F 2016)를 제외하고는 모두 임상의학 하위 분류중 하나인 간호학 분야였다. 간호학은 중의임상학 분야에서도 매우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약선 식이요법 관련 연구가 간호학 분야에서 많이 발표되는 현상은 대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에서 언급했듯이 임상영양학 연구 분야가 분류체계에 있지 않아 이 분야의 임상수행과 연구가 주로 간호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감염성 질병 및 전염병(感染性疾病及传染病, Infectious Disease) 분야는 2편으로 소아의 폐결핵에 대한 약선 치료 임상연구(Li G 등 2018)와 만성B형 간염에 대한 음식치료 연구(Fu L & Chen H 2017)가 있었다. 소화계통질병(消化系统疾病, Digestive System Disease)은 간경변과 위염에 대한 연구 3편이 있었다. 내분비선 및 전신성 질병(内分泌腺及全身性疾病, Endocrine and Systemic Disease)은 총 8편으로 내분비선 질병 및 대사질병에는 당뇨와 골다공증, 난소질환에 대한 연구 7편이 있었고, 전신성 질병에는 류마티스관절염에 대한 중서의 영양치료 연구현황(Wei S & Xu Y 2017) 1편이었다. 외과학(外科学, Surgery)에서는 골다공증 골절 접합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Deng Q 등(2017)의 연구 3편이었다. 비뇨과학(泌尿科学, Urology)은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에 부종에 대한 서양의학과 약선병행치료 연구 1편이었고, 산부인과학(妇产科学, Gynecology and Obstetrics)은 약선과 오행음학치료를 병행한 조기유산에 대한 연구 (Li Z 등 2016)등 3편, 신경병학(神经病学, Neurology)은 뇌졸중환자의 궤양성 장출혈합병증에 대한 약선의 예방효과에 대한 Sang H & Liu Y(2016)의 연구가 1편이었다. 종양학(肿瘤学, oncology)은 일반성문제 분야 3편, 호흡계종양 1편, 소화계종양 2편이 각각 있었다. 안과 및 이비인후과(眼科与耳鼻咽喉科,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는 이과학, 귀질병(耳科学、耳疾病) 분야 1편으로 중서의(中西醫) 결합으로 이원성(耳源性) 현운증을 치료한 문헌에 대한 리뷰논문(Zhang Q & Leng H 2018)이 포함되었다. 중의학 분야의 중의임상학을 제외한 각 과의 경우 논문의 편수가 많지는 않지만, 부인과, 소아과를 비롯해 외과와 골상과, 피부과 신경정신과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약선의 임상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향후 우리나라 약선의 연구방향 설정에도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더 나아가 약선을 이용한 식이요법이 종합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는 데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7. 질환 분류에 따른 연구내용분석

약선이 어떤 질병과 관련해 연구되고 있는지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논문의 제목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 Informative Classification of Diseases)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 논문들의 질병을 분류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disease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전체 질병을 주제로 한 논문 중 당뇨가 포함된 내분비, 영양, 대사질환이 49편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고혈압과 심장질환이 포함된 순환계통 41편, 위염과 장염 등이 포함된 소화계통이 40편이었다. 이 중 소화계통 질병의 경우 임상연구가 36편으로 가장 많았다. 주로 위염, 위궤양, 소화불량, 대장염 등에 대한 약선죽, 약선탕의 효능과 기타 치료법과의 병행치료에 대한 임상효능평가로 나타났다. 소화기계는 음식의 영향을 가장 먼저, 많이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식이요법이 약물치료와 더불어 혹은 약물치료에 앞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며, 이러한 점이 약선의 연구에서도 반영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가장 많은 연구가 된 단일질병은 당뇨로 36편으로 나타났는데, 임상연구가 25편, 문헌연구가 11편이었다. 당뇨는 식이요법을 통한 엄격한 혈당 관리가 중요한 질환으로 특히 초기 당뇨의 경우는 약물복용보다 식이요법 등 생활방식의 개선을 권장하는 것이 진료지침(대한당뇨병학회 2015)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약선을 이용한 임상연구와 문헌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결과로 판단된다. 그 중 당뇨임상 연구의 경우, 중의병원에서 수행하는 연구임에도 약선 급여와 함께 영양 상담과 교육, 운동처방 등을 함께 수행하는 종합적인 중재방식을 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생물이 31편이었다. 종양 자체에 대한 효능평가보다는 항암치료과정 중 회복 혹은 재활 중 필요로 하는 영양관리와 암인성 피로, 위장장애, 백혈구 감소 등 항암치료로 유발된 증상의 완화에 미치는 약선의 효능평가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는 고혈압이 23편이었고, 소아체질연구를 포함한 소아과 분야 논문이 20편으로 나타났다. 10편 이상이 발표된 질병으로는 심장질환 14편, 위장질환 18편, 월경, 폐경, 불임 등이 포함된 여성생식기관질환 15편, 유즙분비장애와 같은 산후합병증에 대한 내용이 16편이었다. 여성생식기관 질환과 임신출산 질환을 포함한 산부인과 질환은 총 39편이 발표되어 소아과나 노인질환에 비해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 및 결론

약선과 그를 이용한 식이요법은 한국의 전통적인 식생활 지식을 바탕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 관리할 수 있는 보건프로그램의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약선 연구가 진행되었고 연구자마다 연구의 필요성은 피력하였으나, 여러 학문 분야에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특성으로 다른 식품영양학 분야에 비해 연구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약선 연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약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연구기획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학제 간 공동연구의 필요성과 동기를 부여하여 약선 연구가 더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학술검색 사이트인 CNKI에서 서비스하는 중의학 데이터베이스인 TCMD(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atabase)를 이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약선(藥膳)’, ‘중의식료(中醫食療)’, 주제어로 검색되는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91종의 저널에서 총 45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우리나라의 약선 연구와 양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중국의 연구기관과 연구인력의 양적 차이에서 나오는 당연한 결과로 판단된다. 지역별로는 광동성, 북경, 강소성, 사천성 등이 가장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이전의 약선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로 각 지역별 연구동향 특징은 향후 중국과의 연구 교류와 협업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에서는 임상연구 182편(40.3%), 실험연구 11편(2.4%), 문헌연구 173편(38.3%), 조사연구 85편(18.8%)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의 경우 논문 편수는 적으나 동물실험에서의 약선 처방의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방법은 다양한 약선제형에 대한 효능평가 연구의 참고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연구 중에서는 소수민족의 식문화와 약선에 대한 조사연구들은 향후 아시아 각 나라의 식문화 연구와 전통 의학과의 상관성 등에 대한 분석연구의 참고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주제는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가 전체 93.4%를 차지했으며, 그 중 중의학 분야가 81.9%를 차지했다. 질병분류로 볼 때 내분비·영양·대사질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순환계통과 소화계통이 다음으로 많았다. 가장 많이 연구된 병명은 당뇨로 36편이 발표되었다. 의약위생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헌과 효능평가관련 실험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임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임상연구 중에서도 중의내과분야의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부인과, 소아과를 비롯해 외과, 골상과, 피부과, 신경정신과 분야 등 각 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약선의 임상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들 연구에 대한 분석은 약선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연구 동기를 부여하고, 연구기획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약선의 임상연구는 임상영양학 전문가와 한의학전문가와의 협업이 절실히 필요한 분야로, 향후 각 분야 전문가들의 활발한 연구교류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고는 전체적인 연구경향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어 각 연구 분야별 구체적인 내용을 모두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구체적인 약선 처방이나 재료 및 각 질환별 약선의 임상적용 방안 등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의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약선 관련 연구의 지역적 분포를 발표 건수에 한하여 분석하였으나, 특정 지역의 연구사례가 많은 이유에 대한 분석이나 중국 각 지역의 중의학대학 위치에 대한 고려, 각 지역에서 많이 발병하고 있는 질병의 추이, 각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식품의 종류, 많이 섭취하는 음식 등에 대한 설명이 함께 비교 고찰된 연구가 추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 Ahn S, Lee M, Pyo B, Ha J, Ahn S (2008) Research of alimentotherapy definitions and applied theories. Korea J Oriental Medicine 14(2): 27-33.
  • Chen G, Qu H, He Q, Li L, Zhang C, Xie M (2018) Study on the water-extracting process of Radix ophiopogonis and Rhizoma phragmitis in medicated diet five-juice decoction. China Pharmacist 21(11): 1912-1923.
  • Chen T, Chen J, Tan J, Ye N (2016) Effect of different doses of Chinese herbal medicated congee on fluorouracil induced gastrointestinal mucositis in rats. J Nurs Sci 31(16): 49-51.
  • Chen T, Tan J, Chen J, YE N (2017) Effect of Qiyao jijin porridge medicated food on intestinal junction proteins for rats with chemotherapy based on the TLR4/NF-κB pathway. Clinical J Tradit Chin Med 29(10): 1672-1676.
  • Chung HK, Kim MH, Kim HR, Chung HJ, Woo N (2011) Developing a healthy Korean food menu through Sikryochanyo. Korean J. Food & Nutr 24(1): 37-53. [https://doi.org/10.9799/ksfan.2011.24.1.037]
  • Deng Q, Peng R, Zhao J, Li Z, Yang Z, Han X, Li J (2017) Clinical efficacy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to prevent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PKP postoperative refracture. J Liaoning University of Tradit Chin Med 19(12): 10-13.
  • Fan N, Zhang C,Lin Y,Liao Y,Zhang Y,Xi X,Li B (2016) A textual research for “medicinal cuisine” from ancient to modern time. J Beijing University of Tradit Chin Med 39(3): 199-203.
  • Fan W (2018) Case study of the combination of medicinal diets and medicinal education in Tianhe district, Guangzhou. Asia-Pacific Tradit Med 14(5): 206-207.
  • Fu L, Chen H (2017) Diet th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Liver Doctor 13(2): 52-53.
  • Guo J (2016) Medicinal diet and folklore tour. Xin NongYe 45(20): 45.
  • Han BJ (1996)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untional food. J East Asian Soc Diet Life 6(2): 235-255.
  • Han SY, Kim SH, Han SY, Han YR, Lee HB, Kwon YK, Chae H (2015) Systematic review on the Yaksun study.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9(4): 295-304. [https://doi.org/10.15188/kjopp.2015.08.29.4.295]
  • Huang J, Zhang Q, Wu Z, Huang Y (2017)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Luohan paste by orthogonal test. Central South Pharmacy 15(12): 1730-1732.
  • Kang M, Paik HY, Wie GA, Joung H (2012) Development of healthy Han-si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eaturing consumption of Korean food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Nutr 45(6): 552-561. [https://doi.org/10.4163/kjn.2012.45.6.552]
  • Katcher HI, Legro RS, Kunselman AR, Gillies PJ, Demers LM, Bagshaw DM, Kris-Etherton PM (2008) The effects of a whole grain-enriched hypocaloric diet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7(1): 79-90. [https://doi.org/10.1093/ajcn/87.1.79]
  • Kim H (2008) A study on medical treating the royal family with eating food in Choson Dynasty.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45: 135-177.
  • Korea Informative Classification of Diseases (2019) http://www.koicd.kr/stat/die-stats.do, (accessed on 20. 11. 2019)
  • Lee JY, Ju HO, Park SY (2017) The status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05, 2010 and 2015. J Korean Soc Sch Health 30(1): 59-69. [https://doi.org/10.15434/kssh.2017.30.1.59]
  • Lee MS, Kang HJ, Oh HS, Paek YM, Choue RW, Park YK, Choi TI (2008)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13(1): 46-61.
  • Li A, Zhu J, Ning Q, Gu X, LIN D (2016) Rehabilitation research progress of pneumoconiosis. Chin J Urban and Rural Enterprise Hygiene 28(8): 21-23.
  • Li G, Zhu D, Wang L, Luo S (2018) Yuehua pig lung medicated diet combined with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30 cases of Qi and Yin deficiency of tuberculosis in children. Fujian J Tradit Chin Med 49(1): 63-64.
  • Li Z, Gan Y, Ruan J, Hu G, Fan M, Liu G (2016)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medicated diet combined with five elements music assistant therapy for patients with late threatened abortion. Chin Nurs Research 30(11): 3868-3871.
  • Lin J, Zhang J, Chen Y (2018) Effect of reinforcing kidney medicinal diet on CTX-Ⅰ index and bone morpholog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odel rats. J Hunan University of Chin Med 38(4): 389-392.
  • Liu D, Zhu Z, Song Y (2016) Feasibility study on develop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alth tourism in Jinshantun of Yichun city. Economic Research Guide 12(33): 164-165.
  • Li W, Liu X (2018) Effects of medicated diet intervention on anti- oxidation ability of skeletal muscle in aging rats. Chin J Gerontology 38(16): 3985-3987.
  • Liu Y, Long C, He L, Guo Y, Li S, Yuan Z, Tan Z (2017) Research progress of Sijun tea and Hericium erinaceus on spleen and stomach. Chin J Microecology 29(4): 487-493.
  • Ma D (1995) The first restaurant Chinese medicated diet. Western China 4(3): 12-13.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2017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ion Performance. http://khiss.go.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245&linkId=175272&menuId=MENU00309&schType=0&schText=&boardStyle=&categoryId=&continent=&schStartChar=&schEndChar=&country=, (accessed on 02. 11. 2018)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National Health Insurance Major Statistics. http://www.khiss.go.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268&linkId=175425&menuId=MENU00309&schType=0&schText=&boardStyle=&categoryId=&continent=&schStartChar=&schEndChar=&country=, (accessed on 20. 11. 2019)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9) http://www.nrf.re.kr/biz/doc/class/view?menu_no=322, (accessed on 07. 11. 2019)
  • Nie H, Jiang Y, Dang W (2016)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dierery therapy literature in China CNKI database from 2010 to 2015. Chin Nurs Research 30(4C): 1512-1514.
  • Peng M (1991)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medicinal diet. J Chengdu University(Natural Science Edition) 10(2): 56-59.
  • Qian C (2018) English translation of the name of Chinese medicinal cuisine from perspective of audience. Yangtze River Series 5(3): 73-74.
  • Sang H, Liu Y (2016) Early enteral nutrition in combination with medicinal food to prevent cerebral apoplexy patients with clinical effect of treatment of stress ulcer bleeding and safety evaluation. J Chengdu University of TCM 39(1): 61-64.
  • Shi D, Zhang J (2017) Marker observation of four gentlemen soup plus astragalus anti-aging on rats. Chin J Clinical Rational Drug Use 10(8A): 54-55.
  • Shi H, Yuan Y, Dan Y, Wang J, Fang Z (2017)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design training in teaching reform of "Bas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nursing". Lishizhen Med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8(5): 1223-1225.
  • Shi X (2018a) Study on the curative effect of Gastrodia elata and Uncaria on hypertensive rats. Farm Products Processing 17(10): 47-52.
  • Shi X (2018b) Study on the lipid-lowering effect of hawthorn gastrodine on hyperlipidemia mouse. Farm Products Processing. 17(9): 55-58.
  • Son T (2017) The viewpoint of food therapy in “Hong lou meng(红楼梦)”. Shandong Literature. 53(4): 115-117.
  • Song C, Xu N, Jiang Y, Liao X, Wang J (2017) Bibliometrics study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et in China knowledge resource integrated database. Nurs Research of China 31(13): 1605-1608.
  • Statistics Korea (2018) 2018 Statistics of the Aged.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accessed on 30. 11. 2019)
  • Tan X (2003) New World National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extbook: Chinese Medicinal Diet.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Beijing. pp 2-7.
  • Tang N, Gao J, Wu C, Ye Y, Wu S, Zhu R (2016) Experimental study of the preventive effect of the Danshen Huangqi Jiyu decoction on early atherosclerosis rats.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 of TCM 18(5) :45-48.
  • Wang F (2017) Microcosmic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alth tourism in Shaoyaogu scenic spot, Shijiangzi village. Zhongjiang. Industrial & Sci Tribune 16(4): 279-280.
  • Wang L, Zheng G, Zhao X, Han X, Bai W, Wang Y (2018)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alth care in hypertension based on text mining. J Basic Chin Med 24(2): 199-200, 217.
  • Wang N (2017) Research of the translation strategy of medicinal die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uiding J Tradit Chin Med and Pharmacy 23(8): 113-115.
  • Wei S, Xu Y (2017) Research progress of rheumatoid arthritis in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Chin J Ethnomedicine and Ethnopharmacy 26(18): 61-63.
  • Wen J (2016) On the advocacy and practic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Yanan period. Bin Feng Lun Cong 4: 67-82.
  • Wong W (1992) Teaching Materials for Medic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CM Dietetics.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Shanghai pp 5-10.
  • Xi P, Nan J, He Q, Meng J (2016) Modern elderly people health thought during Song, Jin and Yuan Dynasties’ enlightenment. Jilin J Tradit Chin Med 36(9): 869-871.
  • Xu F (2016) Analysis on the nutrition state in the intervention of nutrition consultation: 135 cases of chronic diseases. World J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 11(11): 1556-1559.
  • Xu F, Song H, Shi Y, Ji H, Ji W (2017)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tatu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ervices in some communities in Shanghai. Chin Primary Health Care 31(9): 22-24.
  • Yu Z, Wu X (2017) Exploration of teaching mode focusing on training of Chinese medicine thinking-Practice of thematic teaching in Chinese medicine diet. Course Education Research 6(14): 239-240.
  • Yuan W (2017) Teaching experience of TCM diet conditioning course in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Guangdong Vocational Tech Edu and Research 8(2): 139-140.
  • Zhang Q, Leng H (2018) Advances in treatment of auricular vertigo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Research in Tradit Chin Med 13(4): 1-8.
  • Zhang SX, Guo HW, Wan WT, Xue K. (2011) Nutrition education guided by dietary guidelines for Chinese residents on metabolic syndrome characteristic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Asia Pac J Clin Nutr 20(1): 77-86.
  • Zhang Y, Gan K, Li L, Guan F, Deng L (2016) Course desig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et application technology. J Shanxi Health Vocational College 26(1): 76-78.
  • Zhao C, Ren J, Chen X (2017) Paper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nursing research in 5 kinds of nursing periodicals from 2013 to 2015. Nurs Research of China 31(25): 3129-3133.
  • Zhou B, Wu L, Yi W, Fan L, Chen H (2016) Exploration in old-age care we chat platform based on distinguished body catered facilities. Chin J Geriatric Care 14(6): 36-37.

Fig. 1.

Fig. 1.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per year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Table 1.

Main location of published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Location Number Location Number
* Including number of 14 joint research between institutes in different regions.
Guangdong 廣東省 54 Jilin 吉林省 13
Beijing 北京市 43 Zhejiang 浙江省 13
Sichuan 四川省 34 Shanghai 上海市 13
Jiangsu 江蘇省 33 Hebei 河北省 11
Henan 河南省 24 Gansu 甘肅省 10
Hunan 湖南省 21 Jiangxi 江西省 10
Shandong 山東省 20 Shanxi 陝西省 7
Guangxi 廣西壮族自治区 20 Shandong 山西省 6
Tianjin 天津市 17 Chongqing 重慶市 5
Anhui 安徽省 16 Xinjiang 新疆维吾尔自治区 4
Fujian 福建省 15 Henan 海南省 4
Liaoning 遙寧省 15 Neimenggu 内蒙古自治区 3
Yunnan 雲南省 13 Guizhou 貴州省 2
Hubei 湖北省 14 Qinghai 靑海省 2
Heilongjiang 黑龍江省 13 Ningxia 宁夏回族自治区 1
Local unknown 7
Total 465*

Table 2.

Classification of the journal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Classification of journal Journal number Paper number
* Other: unspecified journals.
Mathematics/physics/mechanics/astronomy 2 2
Chemistry/metallurgy/environment/mine industry 3 5
Agriculture 3 7
Medicine & public health 164 418
Education & social sciences 8 8
Economics & management 4 4
Other* 7 7
Total 191 451

Table 3.

Journal wtin ≥5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Journal name Publication location of journal Number
World Latest Medicine Information Beijing 18
Asia-Pacific Traditional Medicine Hubei 16
Nei Mongo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Neimenggu 15
Yunn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Materia Medica Yunnan 11
Guangming Journal of Chinese Medicine Beijing 11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Beijing 11
Journal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Internal Medicine Liaoning 10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Hunan 9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Beijing 9
Cardiovascular Disease Electronic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Beijing 9
Clinical Journal of Chinese Medicine Beijing 9
Journal of Sichua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ichuan 9
Journal of Pediatr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Ganshu 8
China’s Naturopathy Beijing 8
Nursing Research of China Guangdong 6
Journal of Medicine & Pharmacy of Chinese Minorities Neimenggu 6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Beijing 5
Electronic Journal of Clinical Medical Literature Beijing 5
Nursing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Shanghai 5
Chinese Manipulation & Rehabilitation Medicine Guangdong 5
Total 101

Table 4.

Research type of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Research type 2016 2017 2018 Total (%)
Clinical research 66 72 44 182 (40.35)
Experimental research 2 3 6 11 (2.44)
Literature research 66 47 60 173 (38.36)
Survey research 27 30 28 85 (18.85)
Total 161 152 138 451

Table 5.

Research level in published articles of the researc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Research level (硏究層次) 2016 2017 2018 Number
Basic & applied research (natural science) 27 28 26 81
Higher popular science (natural science) 3 2 1 6
Engineering & technology (natural science) 103 87 83 273
Practical techniques of trade (natural science) 1 1 2
Guidance of trade technology (natural science) 6 6 3 15
Basic research (social science) 1 2 . 3
Trade guidance (social science) 4 3 . 7
Primary and vocational education 1 1 . 2
Higher education 2 2 . 4
Literature & art works 1 1 2
Unclassified research level (暂无分组数据) 13 21 22 56
Total 162 153 136 451

Table 6.

Research subjects–major category of subject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Classification of subjects Number
Mathematics/physics/mechanics/astronomy 基础科学 .
Chemistry/metallurgy/environment/mine industry 工程科技Ⅰ辑 8
Architecture/energy/traffic/electromechanics, etc 工程科技Ⅱ辑 .
Agriculture 农業科技 1
Medicine & public health 医药卫生科技 443
Literature/history/philosophy 哲学与人文科学 5
Politics/military affairs/law 社会科学Ⅰ辑 .
Education & social sciences 社会科学Ⅱ辑 7
Electronic technology & information science 信息科技 5
Economics & management 经济与管理科学 5
Total 474

Table 7.

Research subjects–sub category of subject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Major category Sub category of subject classification Number
Chemistry/metallurgy/environment/mine industry Common service 6
Light industry, handicraft industry 1
Chemistry 1
Agriculture Animal husbandry and veterinary 1
Medicine & public health Policy and law research of medicine and sanitation 2
Medical education and brink discipline 4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3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363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26
Clinical medicine 14
Infectious disease 2
Cardiovascular system disease 3
Digestive system disease 3
Endocrine and systemic disease 8
Surgery 3
Urology 1
Gynecology and obstetrics 3
Neurology 1
Oncology 6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1
Literature/history/philosophy Chinese literature 1
Foreign language 2
History of China (General) 1
China neoteric and modern history 1
Education & social sciences Theory and management of education 1
Higher education 2
Vocational education 4
Electronic technology & information science Computer software and application of computer 1
Library science and digital library 3
Journalism and media 1
Economics & management Trade economy 1
Theory of industrial economy 1
Tourism 3
Total 474

Table 8.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medicine & public health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Major category of medicine & public health Sub category of medicine & public health Number Total number
Policy and law research of medicine and sanitation Medical and sanitary institution and the management 2 2
Medical education and brink discipline Medical library information and related institution, group and conference 1 4
Medicine history 1
Medical education 2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Labour hygiene 1 3
Nutrition hygiene, Food hygiene 2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medicine 22 363
Basic theo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4
Traditional Chinese clinical medicine 175
Traditional Chinese internal medicine 90
Traditional Chinese surgery 1
Osteology of traditional medicine 3
Traditional Chinese obstetrics and gynaecology 15
Traditional Chinese pediatrics 18
Traditional Chinese tumor department 12
Traditional Chinese dermatological department 3
Traditional Chinese five sense organs (ears, eyes, lips, nose and tongue) department 2
Traditional Chinese urology 3
Traditional Chinese neurology and psychiatry 5
Chinese minority medicine 10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Pharmacolog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al formulae 6 26
Herbals 1
Traditional Chinese medical pharmacology 9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5
Making and prepa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
Traditional Chinese medical chemistry 3
Clinical medicine Nursing 13 14
Diagnostics and treatment technology 1
Infectious disease Tuberculosis 1 2
Virus infectious disease 1
Cardiovascular system disease General 2 3
Cardiopathy 1
Digestive system disease Hepatic and gallbladder disease 2 3
Gastropathy 1
Endocrine and systemic disease Endocrine disease and metabolic disease 7 8
Systemic disease 1
Surgery Special surgery 1 3
Orthopaedics 2
Urology Nephropathy 1 1
Gynecology and obstetrics Gynecology 1 3
Obstetrics 2
Neurology Cerebrovascular disease 1 1
Oncology Oncology fundamentals 3 6
Tumor of respiration system 1
Tumor of digestive system 2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Otology and otopathy 1 1
Total 443

Table 9.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disease classification of Chinese Yaksun(藥膳) diet from 2016 to 2018

Disease classification Content Number Total number
Infectious disease Viral intestinal infections 1 6
Tuberculosis: Phthisic 1
Viral hepatitis 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disease 1
Endocrine, nutritional or metabolic diseases Disorders of the thyroid gland or thyroid hormones system 1 49
Diabetes mellitus 36
Metabolic disorders 7
Obesity 4
Metabolic syndrome 1
Mental, behavioural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s 4 13
Insomnia disorders 9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Hypertensive diseases 23 41
Heart disease: Diseases of coronary artery, heart failure, myocarditis, ischaemic heart diseases, pulmonary heart disease, et al. 14
Cerebrovascular diseases: Cerebral ischaemia, stroke 4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Other diseases of upper respiratory tract 1 9
Chronic lower respiratory tract diseases: Bronchitis, asthma, pneumonitis, cough 6
Lung diseases due to external agents: Pneumoconiosis 2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Diseases of the stomach or the duodenum: Gastritis, ulcer of stomach or duodenum 18 40
Diseases of intestine: Enteritis et al. 7
Diverticular disease of intestine: Hemorrhoid et al. 7
Diseases of liver: Hepatic fibrosis or cirrhosi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lcoholic liver disease 8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connective tissue Arthropathies: Rheumatoid arthritis 1 12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spine 6
Osteopathies or chondropathies 5
Diseases of the skin Inflammatory dermatoses: Psoriasis et al. 2 2
Diseases of the urinary system 8
Diseases of the genitourinary system Diseases of the female genital system 15 23
Pregnancy, abortive outcome of pregnancy 8
Pregnancy, childbirth or the puerperium Complications predominantly related to the puerperium 16 24
Injury, poisoning or certain other consequences of external causes Fracture, bed sore 2 2
Neoplasms Chemotherapy supplement 31 31
Diseases of the visual system Structural developmental anomalies of the eye, eyelid or lacrimal apparatus 2 2
Diseases of the ear or mastoid process Diseases of external ear 1 1
Others* Elderly health 9 36
Pediatric health, constitution et al. 20
constitution et al. 7
Total 291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