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Original research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30, No. 1, pp.35-41
ISSN: 1225-6781 (Print) 2288-88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21 Oct 2019 Revised 31 Jan 2020 Accepted 31 Jan 2020
DOI: https://doi.org/10.17495/easdl.2020.2.30.1.35

압출성형 공법에 의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김태우1, ; 임재천2 ; 이혜림3 ; 최광석4
1강원대학교 웰빙특산물산업화센터 연구교수
2강원대학교 웰빙특산물산업화센터 팀장
3강원대학교 웰빙특산물산업화센터 선임연구원
4(주)옥두식품 대표
Evaluation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Lentinula edodes Extract by Extrusion
Tae Woo Kim1, ; Jae Cheon Im2 ; Hye Rim Lee3 ; Gwkang Seok Choi4
1Research Professor, Well-being Bioproducts R&D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24341, Republic of Korea
2Manager, Well-being Bioproducts R&D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24341, Republic of Korea
3Senior Researcher, Well-being Bioproducts R&D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24341, Republic of Korea
4President, OKDUFOOD Co., Ltd., Gangwon 25209,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Tae Woo Kim, Tel: +82-33-342-7365, Fax: +82-33-342-7368, E-mail: kunric@kangwon.ac.kr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xtrusion process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ntinula edodes by measuring β-glucan conten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effect on nitric oxide (NO) metabolism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unprocessed or extruded L. edodes.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using aqueous extracts from unprocessed and extruded L. edodes. The β-glucan content was 221.87 mg/g using extruded L. edodes, higher than the 196.92 mg/g using unprocessed L. edode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increased by processing from 50.51±10.96 GAE/g and 8.59±2.86 QE/g to 63.37±2.68 GAE/g and 13.12±2.11 QE/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s revealed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extruded L. edodes compared to unprocessed L. edodes. The NO production of RAW 264.7 cells treated with the extruded L. edodes extrac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LPS). This study confirms that extrusion can chang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 edodes including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potency and NO production.

Keywords:

Lentinula edodes, extrusion, β-glucan, antioxidant, NO metabolism

서 론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담자균류 느타리과에 속하는 균류로 봄에서 가을까지 참나무 등의 활엽수에 기생하거나 나무토막이나 그루터기에서 자라는 버섯으로 느타리버섯과 더불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업적인 인공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버섯이다(Jiang T 등 2013). 표고버섯에는 당질, 단백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칼슘과 인, 철분 등 무기질, ergosterin, eritadenine과 β-gluca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Hong JS 등 1988). Ergosterin은 체내 흡수 시 비타민 D로 대사되어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며, eritadenine은 혈중콜레스테롤 감소 작용과 혈압 감소 작용이 보고되었다(Hatvani N 2001; Enman J 등 2007; Kim HS 등 2013). 표고버섯에 함유된 β-1,3 glucan은 lentinan이라 부르며, 보조 T 세포 1형(Th 1)을 활성화시켜 바이러스, 세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또한, 면역세포 수용체와 결합하여 종양세포, 돌연변이 세포를 제거하며, natural killer cell(NK cell),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보체계(complement system) 조절을 통한 항암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Manzi P & Pizzoferrato L 2000; Oba K 등 2009; Rop O 등 2009). 이외에도 표고버섯은 피부재생, 콜레스테롤 감소, 간세포 보호, 항피로, 항산화, 아질산염 소거 등 다양한 효능이 있음이 보고되었다(Lkekawa T 등 1989; Choi SJ 등 2010; Kim KJ & Seo KS 2016).

식물의 세포벽은 펙틴 및 리그닌,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이 유기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어 유효성분의 추출이 제한된다. 따라서 압출성형, 초음파, 균질 등의 물리적 방법과 산·염기 처리, 효소처리 등의 화학적 방법을 통해 세포벽을 파괴해 식물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의 용출을 용이하게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wang JK 등 1994). 그 중 압출성형은 고온, 압력, 전단력 등의 외부적인 요인과 사출구 통과 시 압력강하에 따른 상변화를 통한 수분의 비체적 증가로 인해 원료의 팽화가 이루어지며, 그 과정은 원료의 혼합, 분쇄, 가열, 성형, 건조과정으로 이루어진다(Gu BJ & Ryu GH 2011). 압출성형 과정을 통해 세포벽 파괴 및 추출량 증가, 전분의 수화, 팽화, 호화를 비롯하여 단백질 변성, 효소 불활성, 미생물 사멸 및 살균 등이 가능하며, 사과박 수용성 식이섬유 및 펙틴 함량 증가, 비지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 증가 등 압출성형 공법을 이용한 물성 개선 및 식품 소재 개발 등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Hwang JK 등 1994; Ryu GH 1995).

표고버섯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추출 용매, 재배방법, 건조방법에 따른 연구결과가 있지만, 압출성형에 따른 생리활성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Kim MJ 등 2012; Han SR 등 2015; Seo SY 등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압출성형에 따른 표고버섯 추출물의 β-glucan 함량 변화와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환원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량 측정을 확인하여 압출성형 표고버섯의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충남 홍성군에서 생산 및 건조된 버섯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 표고버섯 압출성형 및 추출

표고버섯의 압출성형은 twin extruder(FX-40, Seoul, Korea)를 사용하였다. 압출성형기의 스크루 직경은 44∅, 직경과 길이의 비(L/D ratio)는 20:1이다. 표고버섯 압출성형의 변수로는 메인 스크루 1,200 rpm, 원료 feeder 25 rpm, 수분공급량 100 cc/min, barrel 1의 온도 80℃, barrel 2의 온도 100℃, barrel 3의 온도 120℃로 설정하였다. 표고버섯 시료는 이물질 제거 및 흐르는 물로 세척하였으며, 25~30℃에서 24시간 냉풍 건조하였다. 건조된 표고버섯은 cutter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180 μm pore size의 80 mesh 표준체(Testing sieve, Chung-gye Sanggong Co., Seoul, Korea)를 통과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표고버섯 및 압출성형한 표고버섯 100 g에 증류수 10.7배를 가한 뒤 60℃에서 24시간 교반 추출하였으며, 6,000 rpm에서 30분 원심분리하고 분리된 상등액은 여과지(Advantec Toyo 5A, 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한 뒤 동결건조기(BD8512, Ilshin Lab. Co. Ltd., Korea)로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β-Glucan 함량 측정

표고버섯의 β-glucan 함량은 Choi SJ 등(2010)의 방법을 이용하여 Megazyme kit(Mushroom and Yeast β-glucan Assay Procedure K-YBGL, Megazyme, Ireland)로 측정하였다. 총 glucan 함량 측정은 150 μm pore size의 100 mesh 체로 시료를 거른 분말 100 mg을 37% HCl 1.5 mL에 넣고 30℃에서 45분간 가열하여 분해하였다. 가열 후 증류수 10 mL를 넣고, 100℃에서 2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실온에서 방냉하고 2 N KOH 10 mL에 200 mM sodium acetate buffer로 100 mL를 정용하였다. 상등액 0.1 mL에 효소 혼합액 (exo-1,3-β-glucanase (20 U/mL) + β-glucosidase (4 U/mL)) 0.1 mL를 혼합하였다.

Reagent blank는 acetate buffer 0.2 mL를 넣고, D-glucose standard는 D-glucose standard 0.1 mL와 acetate buffer 0.1 mL를 넣고 g혼합한 후 40℃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Glucose oxidase/peroxidase mixture(GOPOD) 3 mL를 넣고 4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Glucan은 100 mesh 체로 시료를 거르고, 100 mg에 2 M KOH 2 mL씩 넣고 20분간 혼합하였다. 1.2 M sodium acetate buffer 8 mL를 넣고 섞은 후 효소 혼합액 (amyloglucosidase (1,630 U/mL) + invertase (500 U/mL)) 0.2 mL를 넣고, 잘 섞어서 4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등액 0.1 mL에 200 mM sodium acetate buffer 0.1 mL, GOPOD 3 mL를 넣고 4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Opiwen 2120 UV plus, Mecasys Co. Ltd., Korea)를 사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β- Glucan의 함량은 total glucan 함량에서 α-glucan 함량을 빼서 정량하였다.

4.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은 Kim JM 등(2010)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증류수 4.8 mL에 시료 0.2 mL, 1 N Folin-Ciocalteau’s phenol(Sigma, St Louis, Missouri, USA) 0.5 mL를 혼합하여 3분간실온에서반응시킨후10% Na2CO3 1 mL를첨가하여 1시간동안 반응시키고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gallic acid(Sigma, St Louis, Missouri, USA) 검량선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oreno MI 등(2000)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0.5 mL에 80% ethanol 4.3 mL, 10% aluminum nitrate 0.1 mL, 1 M potassium acetate 0.1 mL를 혼합한 뒤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quercetin(Wako, Osaka, Japan) 검량선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소거능은 Blois MS(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와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는 농도별로 증류수에 녹였으며,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는 ethanol에 0.15 mM 농도로 녹여서 사용하였다. 시료 0.2 mL에 DPPH 0.6 mL를 첨가하여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다음 계산식에 의거하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 100 — [(Absorbance value of sample / Absorbance value of control) × 100]

6. 환원력(Reducing Power) 측정

환원력은 Arabshahi-Delouee S & Urooj A(2007)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및 시약은 증류수에 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 0.5 mL에 0.2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6) 0.5 mL, 1% potassium ferricyanide 0.5 mL를 혼합하고 5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0% trichloroacetic acid 2.5 mL를 가하였다. 반응액은 65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고, 상층액 0.5 mL에 증류수 0.5 mL, 1% iron(III) chloride 0.1 mL를 가하여 혼합한 반응액의 흡광도는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되는 흡광도로 환원력 정도를 평가하였다.

7. RAW 264.7 Cell 세포배양

마우스 단핵구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PEST)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을 이용하여 37℃, 5% CO2 공기조건으로 배양하였다(Denlinger LC 등 1996). RAW 264.7 세포가 70% 이상 배양되면 cell 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모아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8. 세포 내 Nitric Oxide 생성량 측정

세포 내 nitric oxide 생성량 측정은 Denlinger LC 등(1996)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을 24 well에 1 × 105 c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표고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lipopolysaccharide(LPS) (Sigma, St Louis, Missouri, USA)를 세포에 1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 100 μL와 동량의 Griess reagent를 첨가한 뒤 15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으며,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사용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 통계처리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4(SAS institute, NC, USA) 을 사용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군의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ANOVA test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분석 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β-Glucan 함량

표고버섯과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β-glucan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표고버섯의 β-glucan 함량은 196.92 mg/g, 압출성형 표고버섯의 β-glucan 함량은 221.87 mg/g으로 압출성형을 통해 β-glucan 함량이 약 112.6%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β-Glucan은 식물과 버섯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며 단백질 또는 기타 세포벽 성분과 결합한 형태로 존재하며 면역 활성, 항산화 작용, 생체조직의 재생, 항생작용, 항균작용 및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효과가 보고되었다(Mizuno M 등 1998). Choi SJ 등(2010)은 표고버섯물 추출물의 β-glucan 함량이 335 mg/g이라고 보고하였으며, Kim KJ & Seo KS(2016)는 종에 따른 표고버섯 β-glucan 함량이 157.0~317.4 mg/g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연구결과보다 다소 낮은 β-glucan 함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β-Glucan contents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Ballance GM & Manners DJ(1978)는 수삼을 압출성형하였을 때 수분 및 온도, 전단력에 의해 섬유소 증가에 의한 추출 수율 증가를 보고하였으며. Jung EB 등(2008)의 압출성형 곡류와 Hong JH 등(2004)의 압출성형 콩 비지에 관한 연구에서 수용성 섬유소와 환원당 증가를 보고하였다. 또한, Gil SK 등(2016)은 수분함량과 배럴 온도를 달리한 압출성형에서 신령버섯의 β-glucan 함량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표고버섯을 압출성형 하였을 시 표고버섯에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 등을 통한 세포벽의 파괴로 인한 용출 증가로 표고버섯의 β- glucan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표고버섯과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ig. 1과 같다. 표고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50.51±10.96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59±2.86 QE/g으로 확인되었으며,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3.37±2.68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3.12±2.11 QE/g으로 압출성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이 125.46% 증가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5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Fig. 1.

Total plo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expressed as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GAE) and quercetin equivalents (QE) per g of dry extract.Data were expressed as mean±S.D. and comparisons of data were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p<0.05, compared to normal Lentinula edodes (NLE).

식물에 포함된 폴리페놀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 카테킨, 리그난 등이 있으며, 항산화 작용 및 항암작용, 항염 작용 등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An BJ 등 2002; Ahmad N 등 2000). Sung NY 등(2016)은 압출성형시 온도 및 스크루 속도에 따른 무청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함을 보고하였으며, Schmidtlein H & Herrmann K(1975)는 인삼의 압출성형 과정에서 온도 증가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압출성형 과정에서 압출성형에 의한 표고버섯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증가는 압출성형 시 표고버섯에 가해지는 열과 스크루에 의한 조직 연화 및 용출증가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표고버섯과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Fig. 2와 같다. 표고버섯 추출물과 압출성형 표고버섯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증가하였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보다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 처리시 20.6%, 1 mg/mL 처리시 32.7%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으며,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 처리시 27.9%, 1 mg/mL 처리시 42.4%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확인되었다.

Fig.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d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PPH는 안전한 구조의 free radical로 보라색을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과 반응하면 환원되어 보라색이 노란색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가 가지는 전자공여능을 확인할 수 있다(Kang YH 등 1995). Son HJ & Ryu GH(2009)An SH & Ryu GH 등(2015)의 연구에서 압출성형에 의해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증가함을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압출성형에 의해 phenolic acids, flavonoids 및 기타 페놀성 화합물 증가에 의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실험결과 압출성형을 통해 표고버섯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압출성형을 통해 표고버섯 내 phenolic acids, flavonoids 및 기타 페놀성 화합물 증가에 의해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4. 환원력(Reducing power)

표고버섯과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환원력은 Fig. 3과 같다.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의 환원력은 0.20±0.06,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의 환원력은 0.25±0.05로 125%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물 1 mg/mL의 환원력은 0.38±0.03,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 1 mg/mL의 환원력은 0.43±0.02로 113.16%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Fig. 3.

Reducing Power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e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환원력은 ROS에 전자를 제공할 수 있는 활성 수소를 흡광도 수준으로 측정한 값으로 ferric-ferricyanide(Fe3+) 혼합물이 수소를 공여하여 유리라디칼을 안정화 형태인 ferrous(Fe2+)로 환원시키는 활성을 알아보는 실험으로 흡광도가 높을수록 높은 환원력을 의미한다. Choi KH 등(2014)의 실험과 Gui Y& Ryu GH(2014)의 실험에서 압출성형에 의해 환원력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환원력의 증가는 압출성형에 의해 페놀성 화합물 및 다당류 용출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본 실험결과 표고버섯의 환원력 증가 역시 압출성형에 의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 증가에 의한 증가로 판단된다.

5. 세포 내 Nitric Oxide 생성량 측정

Raw 264.7 세포에서 표고버섯 및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에 의한 nitric oxide(NO) 생성량은 Fig. 4와 같다. 무처리군의 NO 생성량을 100%로 환산하였을 시 lipopolysaccharide(LPS) 1 μg/mL를 처리한 군의 NO 생성량은 197.4% 증가하였다.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 처리시 133.9%, 1 mg/mL 처리시 141.1%로 NO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 0.5 mg/mL 처리시 141.1%, 1 mg/mL 처리시 168.1%로 NO 생성량 증가로 압출성형 표고버섯의 NO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 4.

Effects of the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Cell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d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itric oxide(NO)는 nitric oxide synthase(NOS)의 효소 촉매 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라디칼로 혈압조절, 신경전달 매개체 및 면역반응을 조절한다(Palmer RMJ 등 1988). NOS는 염증 반응시 생성되며, 대식세포, 내피세포 등에 작용하여 다량의 NO 생성을 유도하고, 혈관 확장과 생체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awamata H 등 2000; Seo WG 등 2010). 세포 내 NO 생성량 증가는 면역반응의 증가를 의미하며, 표고버섯 및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은 NO를 증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를 통해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LPS보다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내었지만, 인체 적용이 불가능한 LPS와 달리 식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표고버섯을 통해 면역반응 증가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 약

본 연구에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고버섯의 압출성형에 따른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압출성형 표고버섯 추출물의 β-glucan,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일반 표고버섯의 물 추출물과 비교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환원력 실험에서 압출성형 표고버섯의 항산화 활성이 일반 표고버섯의 항산화 활성 실험을 통해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β-glucan 증가와 생리활성의 변화는 압출성형 과정에서 표고버섯에 가해진 열, 압력, 전단력에 의해 세포벽이 되면서 추출과정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ß-glucan 등의 생리활성물질 용출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압출성형을 통해 표고버섯의 다양한 성분 및 기능을 향상시킴으로 우수한 기능성 식품 및 제품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개발공정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역특화산업육성(R&D, P0003184)”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Ahmad N, Gupta S, Mukhtar H (2000)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differentially modulates nuclear factor ĸB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s. Arch Biochem Biophys 376(2): 338-346. [https://doi.org/10.1006/abbi.2000.1742]
  • An Bj, Bae MJ, Choi HJ, Zhang YB, Sung TS, Choi C (2002)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4): 212-217.
  • An SH, Ryu GH (2015)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uded rice with vegetables by cold and conventional extru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8): 1212-1218. [https://doi.org/10.3746/jkfn.2015.44.8.1212]
  • Arabshahi-Delouee S,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4): 1233-1240.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6.07.013]
  • Ballance GM, Manners DJ (1978) Structural analysis and enzymic solubiliza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Carbohydr Res 61(1): 107-113. [https://doi.org/10.1016/S0008-6215(00)83575-2]
  •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 Choi KH, Gui Y, Ryu GH (2014)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repeated extrusion on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 258-264. [https://doi.org/10.3746/jkfn.2014.43.2.258]
  • Choi SJ, Lee YS, Kim JK, Kim JK, Lim S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 1087-1096. [https://doi.org/10.3746/jkfn.2010.39.8.1087]
  • Denlinger LC, Fisette PL, Garis KA, Kwon G, Vazquez-Torres A, Simon AD, Nguyen B, Proctor RA, Bertics PJ, Corbett JA (1996) Regula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macrophage purinoreceptors and calcium. J Biol Chem 271(1): 337-342. [https://doi.org/10.1074/jbc.271.1.337]
  • Enman J, Rova U, Berglund KA (2007) Qua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 eritadenine in selected strain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Agric Food Chem 55(4): 1177-1180. [https://doi.org/10.1021/jf062559+]
  • Gil SK, Shin YJ, Kang DI, Ryu GH (2016) Effects of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on extraction of β-glucan from Agaricus blazei Muri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3): 380-385. [https://doi.org/10.3746/jkfn.2016.45.3.380]
  • Gu BJ, Ryu GH (2011) Effects of die geometry on expansion of corn flour extrudate. Food Eng Prog 15(2): 148-154.
  • Gui Y, Ryu GH (2014) Effects of extrusion cook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te and red ginseng (powder). J Ginseng Res 38(2): 146-153. [https://doi.org/10.1016/j.jgr.2013.12.002]
  • Han SR, Kim MJ, Oh TJ (2015)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8): 1144-1149. [https://doi.org/10.3746/jkfn.2015.44.8.1144]
  • Hatvani N (2001) Antibacterial effect of the culture fluid of Lentinus edodes mycelium grown in submerged liquid culture. Int J Antimicrob Agents 17(1): 71-74. [https://doi.org/10.1016/S0924-8579(00)00311-3]
  •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2): 358-370.
  • Hong JH, Youn KS, Choi YH (2004)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sei Murill by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and its antitumor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 586-593.
  • Hong JS, Lee KR, Kim YH, Kim DH, Kim MK, Kim YS, Yeo KY (198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 606-615.
  • Jiang T, Feng L, Zheng X, Li J (2013) Physicochemical response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to gum arabic coating enriched with natamycin during storage. Food Chem 138(1-2): 1992-1997.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2.11.043]
  • Jung EB, Jo JH, Cho SM (2008)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395-1400. [https://doi.org/10.3746/jkfn.2008.37.11.1395]
  •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 J Food Sci Technol 27(6): 978-984.
  • Kawamata H, Ochiai H, Mantani N, Terasawa K (2000)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n Med 28(2): 217-226. [https://doi.org/10.1142/S0192415X0000026X]
  • Kim HS, You JH, Jo YC, Lee YJ, Park IB, Park JW, Jung MA, Kim YS, Kim SO (2013) Inhibitory effects of Lentinus edodes and rice with Lentinus edodes mycelium on diabetes and obe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 175-181. [https://doi.org/10.3746/jkfn.2013.42.2.175]
  • Kim JM, Baek JM, Kim HS, Choe M (2010) Antioxidative and anti-asthma effect of Morus bark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 1263-1269. [https://doi.org/10.3746/jkfn.2010.39.9.1263]
  • Kim KJ, Seo KS (2016) Free sugar, amino acid, and beta-glucan content in Lentinula edodes strains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J Mushrooms 14(2): 27-33. [https://doi.org/10.14480/JM.2016.14.2.27]
  • Kim MJ, Chu WM, Park EJ (2012)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 1041-1048. [https://doi.org/10.3746/jkfn.2012.41.8.1041]
  • Lkekawa T, Uehara N, Maeda Y, Nakamishi M, Fukouka F (1989) Antitumor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some edible mushrooms. Cancer Research 29(3): 734-738.
  • Manzi P, Pizzoferrato L (2000) Beta-glucans in edible mushrooms. Food Chem 68(3): 315-318. [https://doi.org/10.1016/S0308-8146(99)00197-1]
  • Mizuno M, Morimoto M, Minato K, Tsuchida H (1998) Polysaccharides from Agaricus blazei stimulate lymphocyte T-cell subse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2(3): 434-437. [https://doi.org/10.1271/bbb.62.434]
  • Oba K, Kobayashi M, Matsui T, Kodera Y, Sakamoto J (2009) Individual patient based meta-analysis of lentinan for unresectable/recurrent gastric cancer. Anticancer Res 29(7): 2739-2745.
  • Palmer RMJ, Ashton DS, Moncada S (1988) Vascular endothelial cells synthesize nitric oxide from L-arginine. Nature 333(6174): 664-666. [https://doi.org/10.1038/333664a0]
  • Rop O, Mlcek J, Jurikova T (2009) Beta-glucans in higher fungi and their health effects. Nutr Rev 67(11): 624-631. [https://doi.org/10.1111/j.1753-4887.2009.00230.x]
  • Ryu GH (1995) Treatment of Biji by extrusion-cooking and its utilization. Korean Soybean Digest 12(2): 43-48.
  • Schmidtlein H, Herrmann K (1975) On phenolic acids of vegetables. I. Hydroxycinnamic acids and hydroxybenzoic acids of brassica-species and leaves of other cruciferae (author's transl). Z Lebensm Unters Forsch 159(3): 139-148.
  • Seo SY, Park YA, Jang YS, Ka KH (2017) Antioxidant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after sawdust bag cultivation with different oak substrates. Kor J Mycol 45(2): 121-131. [https://doi.org/10.4489/KJM.20170015]
  • Seo WG, Pae HO, Oh GS, Kim NY, Kwon TO, Shin MK, Chai, KY, Chung HT (2010) The aqueous extract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 enhances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in RAW 264.7 macrophages. J Ethnopharmacol 76(1): 119-123. [https://doi.org/10.1016/S0378-8741(01)00220-3]
  • Son HJ, Ryu GH (2009)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 946-950. [https://doi.org/10.3746/jkfn.2009.38.7.946]
  • Sung NY, Park WY, Kim YE, Cho EJ, Song HY, Jun HK, Park JN, Kim, MH, Ryu GH, Byun EH (2016) Increase in anti-oxidant components and reduction of off-flavors on radish leaf extracts by extrusion process. Korean Soc Food Sci Nutr 45(12): 1769-1775. [https://doi.org/10.3746/jkfn.2016.45.12.1769]

Fig. 1.

Fig. 1.
Total plo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expressed as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GAE) and quercetin equivalents (QE) per g of dry extract.Data were expressed as mean±S.D. and comparisons of data were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p<0.05, compared to normal Lentinula edodes (NLE).

Fig. 2.

Fig.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d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ig. 3.

Fig. 3.
Reducing Power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e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ig. 4.

Fig. 4.
Effects of the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Cell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Values expressed are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a~d Mean is a row by different superscippts are significantyl at p<0.0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able 1.

β-Glucan contents of normal Lentinula edodes (NLE) and extrusion Lentinula edodes extract (ELE)

NLE ELE
1) β-Glucan contents (mg/g) = Total glucan (mg/g) — α-glucan.
2) Data were expressed as mean±S.D. and comparisons of data were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 p<0.05 compared to normal Lentinula edodes (NLE).
β-Glucan contents1) 196.92±4.65 mg/g 221.87±6.42 mg/g*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