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29 , No. 6

[ Originals research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29, No. 6, pp. 493-500
Abbrevia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ISSN: 1225-6781 (Print) 2288-88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22 Aug 2019 Revised 23 Oct 2019 Accepted 23 Oct 2019
DOI: https://doi.org/10.17495/easdl.2019.12.29.6.493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품질 특성
박영희 ; 이송미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Young-Hee Park ; Songmi Lee
Dept. of Food and Nutrition, Dongshin University, Naju 5824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Songmi Lee, Tel: +82-61-330-3222, Fax: +82-61-330-2909, E-mail: smlee@dsu.ac.kr


Abstract

In this study, Gochujang sauce was prepared with 5%, 10%, and 15% of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pH, total soluble solid, salinity, viscosity, color,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total cell number and E. coli,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pH of the Gochujang sauce ranged from 4.23 to 4.48, and the salinity of the Gochujang sauce ranged from 4.35 to 4.46%. The total soluble solid and viscosity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For the Hunter color values, the L, a, and b values of Gochujang sauce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of Gochujang sauce increased with increasing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Gochujang sauce ranged from 6.66 to 6.81 log CFU/mL and E. coli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Regarding the sensory preference, Gochujang sauce with 10% of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showed the best preference. In conclusion, the Gochujang sauce containing 10% of Laminaria japonica L. water extracts showed the best featur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Keywords: Gochujang, sauce, sea tangle, water extracts, quality characteristics

서 론

식품 분야가 미래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블루오션 분야로 알려지면서 세계 여러 나라 정부가 주도적으로 자국 음식의 세계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Choe GC & Choi SK 2009). 현대사회는 웰빙과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발효식품과 천연 향신료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Byeon J & Choi I 2018; Lee KO & Kim KB 2018).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은 식생활에서 음식의 맛과 조화를 이루는 주요한 조미료의 역할을 한다(Park SH 등 2003). 고추장은 된장, 간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고유의 장류 중의 하나로, 분말 상태의 메주, 고춧가루 및 여러 재료를 혼합한 후 숙성시켜 만든 것으로, 단백질, 당류, 카로틴, 비타민, 캡사이신, 대두 펩타이드 등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고 매운맛, 단맛, 감칠맛 등이 조화되는 특성이 있다(Choi SK 등 2010b; Lee S 등 2014a). 특히 고추장의 매운맛은 고추의 캡사이신(capsacin) 성분 때문인데, 이 성분은 기름의 산패를 막고, 젖산균의 발육을 도우며 고추의 과피보다 씨가 붙어 있는 흰색 태좌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Kim DH 등 2019). 고추의 매운맛은 입안과 위를 자극하여 체액의 분비를 촉진, 식욕 증진, 혈액순환 촉진, 신경통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MH & Kim DS 2015).

소스는 요리에 첨가되어 음식의 맛, 향, 색상을 향상시켜 식욕을 증진시키고, 영양가를 높일 뿐 아니라, 요리 전체의 외관을 좋게 하여 음식의 품질을 높이며, 소화 촉진 역할을 한다(Choi Y 등 2013). 우리나라에서는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을 이용한 발효 양념이나, 고추나 마늘 등 향 채소를 이용한 양념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경제성장과 식문화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소스류 제품이 급속하게 개발 보급되고 있다(Choi SK 등 2010a; Choi Y 등 2013). 고추장을 활용한 소스는 발효물에서 유래된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고, 맛이 잘 조화된 특성이 있어 칠리, 타바스코 및 토마토 케찹과 같은 서양의 다용도 소스 못지않게 각종 요리에 이용가치가 높다고 할 것이다(Kim YS & Park GS 2010; Shin KE 등 2011).

다시마(Laminaria japonica, sea tangle)는 우리나라 수산자원 중 가장 풍부한 해조류 중 하나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독특한 맛과 향, 정미성분이 풍부하여 생식이나 조미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Kim YS 등 2011; Cui CB 등 2002b). 다시마는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 알칼리성 금속이온과 요오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육류 소비가 많은 현대인의 식생활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훌륭한 무기질의 공급원이다(Bae TJ & Choi OS 2001; Ham SS 등 2008). 다시마의 주성분인 알긴산(alginic acid)과 후코이단(fucoidan)은 식이성 섬유소로 기능을 하며,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유해 중금속의 체내 흡수 방지 및 배출(Kim YY 등 2000), 체내 나트륨의 과다흡수 억제기능 등 다양한 효과가 밝혀지고 있고(Yoon S 등 2014), 최근에는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성(Cui CB 등 2002a),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Cho YJ & Bang MA 2004), 항염증성(Jung KI 등 2019), 항혈액응고작용(Koo JG 등 2001) 등의 생리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고추장 제조 방법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순하게 조미료처럼 요리에 첨가되는 소재가 아니라 자체로도 다양한 활용도를 지닐 수 있는 고추장 소스 개발은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Choi Y 등 2013). 고추장 소스에 관한 연구로는 석류과즙 농축액을 이용한 고추장 소스(Park KT 등 2009), 매실 농축액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Lee MS 등 2011), 함초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Kim YS & Park GS 2010), 여주분말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Cho IS & Park KO 2018)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해조류를 활용한 고추장 소스는 다른 재료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맛이 뛰어나며 생리적 기능이 우수한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를 제조하고,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량에 따른 고추장 소스의 이화학적 성분 및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맛과 품질이 우수한 고추장 소스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다시마 고추장 소스 상품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 제조

고추장 소스 제조에 사용한 다시마 열수 추출물은 감압열수추출기로 80℃, 12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한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을 (주)허니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고추장, 고춧가루, 설탕, 물엿, 간장은 나주 하나로 마트에서 구입하였다. 여러 번의 예비실험을 거쳐 Table 1의 배합비로 소스를 제조하였으며, 4℃에서 12시간 숙성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시마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평가를 위해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량을 5, 10 및 15%의 비율에 따라 첨가하여 고추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Table 1. 
Formula for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
 Control G51) G10 G15
Gochujang 42 42 42 42
Red pepper 3 3 3 3
Sugar 7 7 7 7
Soy sauce 5.5 5.5 5.5 5.5
Starch syrup 14 14 14 14
Starch 10 10 10 10
Water 18.5 13.5 8.5 3.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0 5 10 15
Total 100 100 100 100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이화학적 품질 특성

이화학적 품질 특성은 pH, 가용성 고형분 함량, 염도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pH는 시료 10 g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 mL의 시료액을 만든 후 여과액 20 mL를 pH meter (pH METER F-71, Horiba Ltd, Kyoto, Japan)로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Park KT 등 2009).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디지털 굴절계(Model PR-201, atago, Japan)를 이용하여 각각의 굴절률을 측정하였고(Lee MS 등 2011), 염도는 식품공전에 의한 Mohr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rheometer (Brookfield DV-III Ultra programmable rheometer, Brookfield, Middleboro,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indle은 No. 4를 사용하였고, 150 rpm으로 고정하여 22℃에서 점도가 일정해질 때의 값을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Cho IS & Park KO 2018).

3. 색도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색도는 color difference meter (Spectramagic TM NX,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Hunter의 L(lightness)값, ±a(redness/greenness)값 및 ±b(yellowness/blueness)값을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준 백색판(standard white plate)의 L값은 96.82, a값은 —0.06, b값은 —0.16이었다(Cho IS & Park KO 2018).

4. 폴리페놀 및 탄닌산 함량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reag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0.5 mL와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섞어서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2% Na2CO3 1 mL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Genesys 1-S UV-VIS, Thermo scientific, MA, USA)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표준곡선은 gall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μg/mL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반복하여 3회 측정하였다(Lee SH 2017). 탄닌산 함량은 시료 1 mL와 95% 에탄올 1 mL, 증류수 5 mL,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 5% Na2CO3 용액 1 mL를 시험관에 넣고 섞은 후,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여 분광광도계로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탄닌의 표준곡선은 tannic acid를 사용하였고, 탄닌산 함량은 μg/mL로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반복하여 3회 측정하였다.

5. 총균수 및 대장균 검사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총균수와 대장균수의 측정 방법은 식품공전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총균수는 PCA 배지(Plate count agar, Difco, USA), 대장균은 EMB 배지(Eosin Methylene Blue agar, Difco, USA)에 각각 접종시키고, 37℃에서 총균수는 48시간, 대장균수는 24시간 배양시킨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6. 관능검사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관능검사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 40명을 대상으로 관능특성검사 및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특성검사 평가 항목은 색의 강도(color intensity), 윤기(gloss), 구수한 냄새(savory flavor), 이취(off flavor), 매콤한 냄새(hot flavor), 구수한 맛(savory taste), 매운맛(hot taste), 입안에서의 느낌(mouthfeel)을 평가하였고, 기호도 검사는 색(color), 향(flavor), 맛(taste), 텍스쳐(textur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7점 척도(1: 대단히 싫다, 4: 보통이다, 7: 대단히 좋다)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가래떡을 동반식품으로 하여 3자리 난수표를 이용한 무작위 시료번호를 적은 1회용 접시에 제공하였고, 각각의 시료 평가 시 입안을 헹구기 위해 생수를 제공하였다(Lee MS 등 2011).

7. 통계분석

유의성 검증은 SPSS for Windows 22.0(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one-way ANOVA test 및 Duncan의 다범위 검정(Duncan' mi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p<0.05 수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이화학적 특성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장 소스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가용성 고형분 함량, 염도 및 점도를 분석하여 Table 2와 같이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고추장 소스의 pH는 4.23∼4.48 값을 나타냈으며, 다시마 열수 추출물 10%가 4.2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Lee MS 등(2011)의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 연구에서 매실농축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H가 4.54라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하였고, Kim KS 등(2007)은 일반적인 고추장의 pH가 4.6∼4.9라고 보고하였으며, Seo KI 등(2000)도 고추장의 pH를 4.92로 보고하였고, 지역별 농가에서 생산한 고추장의 pH (Lee S 등 2014b)가 4.72±0.23이라고 보고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pH는 미생물의 생육과 대사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중 하나로, 대부분의 미생물이 pH 6.8∼7.2에서 최적의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는데(Lee MS 등 2011),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추장 소스의 경우 4.23∼4.48로 미생물의 최적 pH에 해당되지 않았다.

Table 2. 
Physiochemical property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Control G51) G10 G15
pH 4.48±0.01b2) 4.48±0.01b 4.23±0.01a 4.45±0.05b
Total soluble solids (%) 53.0±0.0a 55.7±5.8b 55.3±5.8b 57.3±5.8c
Salinity (%) 4.46±0.006NS 4.35±0.09 4.46±0.06 4.45±0.00
Viscosity (cP) 21,351.3±110.9ab 20,782.3±162.9a 21,723.3±587.2b 31,395.7±81.4c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3).
ac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 Not significant.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조군(53.0±0.0%)에 비해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다시마 열수 추출물 15%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57.3±5.8%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주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Cho IS & Park KO 2018)의 결과 및 석류 과즙 농축액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Park KT 등 2009)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염도는 고추장 소스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제품의 품질과 맛에 큰 영향을 주며, 관능적인 면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선정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Kim YS & Park GS 2010).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염도는 Table 2와 같이 4.35∼4.46%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첨가가 염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주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Cho IS & Park KO 2018)는 4.02∼4.36% 범위를 나타내 본 실험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매실 농축액 첨가 고추장 소스(Lee MS 등 2011), 함초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Kim YS & Park GS 2010)에서 추출액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와 일치하였다.

점도의 경우, 다시마 열수 추출물 5%, 10%, 15% 첨가군은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매실 농축액 첨가 고추장 소스(Lee MS 등 2011), 여주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Cho IS & Park KO 2018)의 점도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과 일치하는 결과이며, 다시마 열수추출물의 점도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되었다.

2. 색도

고추장 소스의 색도는 관능에 중요한 요인으로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기호도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으며, 고추장 소스 품질평가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Kim YS & Park GS 2010). 색도의 결과는 Table 3에 나타내고 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29.20∼30.54, a값(redness)은 7.11∼10.18, b값(yellowness)은 3.84∼5.63 범위의 값을 보였으며, 다시마 열수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에서 다시마 함량이 많아질수록 L값, a값, b값이 낮은 값을 나타낸 결과와 일치하였다(Bae TJ & Kim KE 2001). 또한, 함초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Kim YS & Park GS 2010)와 여주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소스(Cho IS & Park KO 2018)에서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의 L값, a값, b값이 낮게 나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able 3. 
Color value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Control G51) G10 G15
Color value L 30.15±0.09c2) 30.54±0.14d 29.55±0.17b 29.20±0.04a
a 10.18±0.12d 9.10±0.07c 8.73±0.21b 7.11±0.18a
b 5.36±0.10b 5.63±0.13c 5.20±0.28b 3.84±0.27a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3).
ad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3. 항산화 활성

식물에 존재하는 많은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중 폴리페놀 화합물은 여러 가지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Sato M 등 1996). 이에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장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탄닌 함량을 측정하여 Table 4에 나타내었다. 고추장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31∼2.53 μg/mL로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Kim JW 등의 연구(2012)에 의하면 다시마의 폴리페놀 함량은 동결건조의 경우 2.93 μg/mL, 분무건조의 경우 3.55 μg/mL로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다시마 추출물 함유량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탄닌 함량 또한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솔잎 열수추출물 함유 소스(Kim HY 등 2012)에서 솔잎 열수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으며, 홍미삼 분말 첨가 고추장 소스(Lee SH 2017)에서도 홍미삼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Oh SI 등 2014), 다시마 첨가 식초(Ahn YS 2019), 다시마 물추출액과 발효액(Jung KI 등 2019)의 결과에 의하면 다시마를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함을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폴리페놀 함량이 많은 식품을 섭취하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산화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Labuza TM 1971), 육류 등을 섭취할 때 다시마 열수추출물을 함유한 고추장 소스를 함께 섭취하면 항산화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4. 
Antioxidant activity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Total polyphenol contents
(μg/mL)
Tannin
(μg/mL)
Control 2.31±0.01a2) 3.78±0.00a
G51) 2.40±0.00b 4.06±0.00b
G10 2.42±0.00c 4.17±0.01c
G15 2.53±0.00d 4.28±0.01d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3).
ad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4. 미생물학적 특성

다시마 열수 추출물 농도를 달리한 고추장 소스의 미생물 검사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한 고추장 소스의 총균은 6.66∼6.81 log CFU/mL 값을 나타내었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시판 소스의 미생물적 품질 특성을 조사한 연구(Kang HS 등 2014)에 의하면 모든 소스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시판 소스의 일반세균은 검출되지 않은 소스부터 4.15 log CFU/g까지의 값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일반세균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고추장 소스 조제 시 첨가된 재료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었다. 또한, Oh SI 등(2014)이 보고한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일반세균은 7.20∼7.57 log CFU/g 수준으로 다시마 추출물 함량에 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 있어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5. 
Total bacterial numbers and E. coli numbers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log CFU/g)
Total bacterial numbers E. coli
Control 6.78±0.36NS2) ND
G51) 6.66±0.31 ND
G10 6.71±0.34 ND
G15 6.81±0.27 ND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3).
NS Not significant.
ND: not detected.

5. 관능적 특성

다시마 열수 추출물 농도를 달리한 고추장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6Table 7과 같다. 특성차이 검사 결과, 색의 강도(color intensity)는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색의 강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대조군과 다시마 열수 추출물 5% 첨가군에 비해 10%와 15%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윤기(gloss)의 경우, 다시마 열수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구수한 향(savory flavor)과 이취(off flavor)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매운 향(hot flavor)의 경우, 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구수한 맛(savory taste)의 측정 결과는 대조군과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군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매운 맛(hot taste)과 입안에서의 느낌(mouthfeel)의 경우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값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 고추장 소스는 일반 고추장 소스의 특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첨가로 인하여 소비자의 입맛에 거부감을 느끼게 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6. 
Attribute difference test results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Control G51) G10 G15
Color intensity 3.76±1.17a2) 3.81±1.12a 5.06±1.31b 6.00±0.94c
Gloss 4.18±1.33NS 4.06±1.20 4.39±1.32 4.54±1.48
Savory flavor 3.79±1.45NS 3.58±1.50 3.69±1.45 3.57±1.40
Off flavor 2.73±1.28NS 2.61±1.36 2.61±1.27 2.69±1.354
Hot flavor 3.21±1.39ab 2.94±1.31a 3.44±1.46ab 3.91±1.56b
Savory taste 3.55±1.42NS 3.66±1.43 3.19±1.17 3.57±1.40
Hot taste 3.21±1.60NS 3.67±1.69 3.92±1.48 4.06±2.00
Mouthfeel 4.06±1.25NS 3.56±1.13 3.89±1.33 4.06±1.40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40).
ab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 Not significant.

Table 7. 
Acceptance test results of Gochujang sauce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Control G51) G10 G15
Color 4.00±1.30a2) 3.92±1.42a 4.78±1.24b 5.20±1.08b
Flavor 3.94±1.30NS 3.94±1.24 4.06±0.96 4.20±1.18
Taste 3.94±1.50NS 3.97±1.44 4.08±1.05 3.80±1.51
Texture 3.82±1.10NS 3.64±1.31 4.17±0.97 3.94±1.28
Overall quality 4.45±1.30b 4.03±1.40ab 4.22±1.07b 3.54±1.61a
1) G5: Gochujang sauce added with 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0: Gochujang sauce added with 10%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G15: Gochujang sauce added with 15% Laminaria japonica L. extracts.
2) Values are means±S.D. (n=40).
ab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 Not significant.

기호도 검사에서 색(color)은 대조군과 다시마 열수 추출물 5% 첨가군에 비해 10%와 15%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미(flavor)에 대한 기호도는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첨가량 증가에 비례하여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맛(taste)과 질감(texture)에 대한 기호도는 다시마 열수 추출물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는 대조군과 다시마 열수 추출물 10% 첨가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리활성효과가 확인된 유효 추출물을 식품제조 또는 조리 시에 첨가할 때는 관능적으로 무첨가구와 차이가 없거나 품질이 우수하여야 활용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데(Lee SH 2017), 색,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다시마 열수 추출물 10%를 첨가하여 고추장 소스를 제품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고추장에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기능성 고추장 소스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5%, 10% 및 15% 첨가하여 고추장 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평가한 결과, pH는 4.23∼4.48 값을 나타냈으며, 다시마 열수 추출물 10%를 함유한 고추장 소스가 4.2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 열수 추출물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4.35∼4.46%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점도의 경우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의 L값, a값 및 b값은 다시마 열수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탄닌 함량은 다시마 열수 추출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총균은 6.66∼6.81 log CFU/mL 값을 나타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고추장 소스의 특성 차이 검사 결과, 색의 강도(color intensity)는 대조군과 다시마 열수 추출물 5% 첨가군에 비해 10%와 15%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윤기(gloss), 구수한 향(savory flavor), 이취(off flavor), 구수한 맛(savory taste), 매운 맛(hot taste), 입안에서의 느낌(mouthfeel)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매운 향(hot flavor)의 경우 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기호도 평가는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10% 첨가한 고추장 소스가 색(color), 맛(taste), 질감(textur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10%를 첨가하는 것이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기능성 추구 및 프리미엄화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식품 소비 요구도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hn YS (2019)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dding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26(2): 211-218.
2. Bae TJ, Choi OS (2001)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4(3): 245-254.
3. Bae TJ, Kim KE (2001)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J Life Sci 11(2): 144-152.
4. Byeon J, Choi I (2018)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commercial Gochujang products. Korean J Human Ecology 27(3): 223-232.
5. Cho IS, Park KO (2018)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aste sauce added with bitter melon (Momoridaica charantia L.) powder. Culi Sci & Hos Res 24(6): 143-149.
6. Cho YJ, Bang MA (2004) Hypo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dietary sea-tangle extracts supplement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Nutr Health 37(1): 5-14.
7. Choe GC, Choi SK (2009)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added with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Culi Sci & Hos Res 15(4): 73-85.
8. Choi SK, Kim SH, Choi EH, Shin KE, Lee JH, Lee M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by degree of hot taste. Culi Sci & Hos Res 16(3): 268-277.
9. Choi SK, Shin KE, Lee MS, Lim SH, Choi E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Jujube Gochujang. Culi Sci & Hos Res 16(5): 264-276.
10. Choi Y, Oh JH, Bae IY, Cho EK, Kwon DJ, Park HW, Yoon S (2013) Change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oy sauce treated with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9(4): 387-398.
11. Cui CB, Lee EY, Lee DS, Ham SS (2002a)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Doenjang added sea tang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 322-328.
12. Cui CB, Oh SW, Lee DS, Ham SS (2002b) Effects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added with sea tangle (Laminaria longissima). Korean J Food Preserv 9(1): 1-7.
13. Ham SS, Choi HJ, Kim SH, Oh HT, Chung MJ (2008)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added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 410-415.
14. Jung KI, Kim BK, Kang JH, Oh GH, Kim IK, Kim M (2019)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and the fermentation liquid of sea tangle. J Life Sci 29(5): 596-606.
15. Kang HS, Kim HS, Ahn JJ, Yun TM, Hwang TY (2014) Study on the potential hazard analysis by physicochemical quality and microbiological safety comparison of commercial sauce in south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6): 845-852.
16. Kim DH, Lee HY, Cho IH (2019) characteristics of a tea made with roasted red pepper (Capsicum annum L.) seeds. Korean J Food Cook Sci 35(3): 280-287.
17. Kim HY, Hwang IG, Chin YJ, Kim SY, Hwang Y, Yoo S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meat added with the sauce of pine needle extract during storage.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5): 593-603.
18. Kim JW, Kwon YR, Youn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6): 716-721.
19. Kim KS, Park JB, Kim SA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 759-765.
20. Kim MH, Kim DS (2015) A quality analysis of low-salted red chilli seed powder added Gochujang. Culi Sci & Hos Res 21(6): 195-205.
21. Kim YS, Kang CO, Kim MH, Cha WS, Shin HJ (2011)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SBB Journal 26: 112-118.
22. Kim YS, Park G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with concentrated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s.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6): 939-946.
23.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ean Fish Soc 33(5): 393-398.
24. Koo JG, Choi YS, Kwak JK (2001)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J Korean Fish Soc 34(5): 515-520.
25.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26. Lee KO, Kim KB (2018)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Gochujang added with red pepper seeds powder. Culi Sci & Hos Res 24(3): 15-24.
27. Lee MS, Park ML, Jung HA, Choi S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dress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Maesil (Prunus mune) concentrate.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1): 38-45.
28. Lee S, Jo JH, Yoo SM, Park BR, Han HM, Kim HY (2014a)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for Gochujang produced by small- and medium-scale manufactur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3): 309-314.
29. Lee S, Yoo SM, Park BR, Han HM, Kim HY (2014b) Analysis of quality state for Gochujang produced by regional rural famil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7): 1088-1094.
30. Lee SH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Gochujang sauce seasoned with red ginseng tail root extract powder. Food Serv Indu J 13(2): 7-27.
31. Oh SI, Sung JM, Lee KJ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rley soybean paste (Doenjang) containing kelp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2): 1843-1851.
32. Park KT, Back JO, Chun SS (2009) Development of Gochujang sauce added concentrated pomegranate juice. Culi Sci & Hos Res 15(4): 47-55.
33. Park SH, Koo HJ, Lim HS, Yoo JH, Hwang SY, Shin EH, Park YH, Lee JH, Cho JS (2003)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 870-875.
34.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35. Seo KI, Kim YT, Cho YS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0(5): 425-430.
36. Shin KE, Choi SK, Choi IS (2011) Quality characteristic of modified green Gochujang prepared with Chengyang pepper powder and roasted soy powder. Culi Sci & Hos Res 17(4): 307-315.
37. Yoon S, Gawck HK, Kim YG, Kim HG, Park MS, Yeom GJ, Oh HS, Lee MJ, Lee JH, Ji GE (2014) Functional Foods. 2nd ed.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