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Original research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Vol. 30, No. 4, pp.274-287
ISSN: 1225-6781 (Print) 2288-88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0
Received 08 Jun 2020 Revised 23 Jul 2020 Accepted 28 Jul 2020
DOI: https://doi.org/10.17495/easdl.2020.8.30.4.274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백선영1, 2 ; 신유리1 ; 김건희3 ; 오지은4 ; 이승민5 ; 함선옥6,
1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과정
2연세대학교 재활학교 영양교사
3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4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조교수
5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6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Analysis of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in Dietitian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
Seonyeong Baek1, 2 ; Yulee Shin1 ; Gunhee Kim3 ; Jieun Oh4 ; Seungmin Lee5 ; Sunny Ham6,
1Ph. D. Student, Dept. of Food & Nutrition, Yonsei University,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
2Nutrition Teacher, Yonsei University Rehabilitation School,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
3Professor, Dept. of Food and Nutri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01369, Republic of Korea
4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Science &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Republic of Korea
5Professor, Dept. of Food & Nutri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02844, Republic of Korea
6Professor, Dept. of Food & Nutrition, Yonsei University,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Sunny Ham, Tel: +82-2-2123-4276, Fax: +82-2-363-3430, E-mail: sham2@yonsei.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 to 19, 2019. A total of 152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18 public independent, 96 public attached, and 38 private kindergarten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for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place characteristics, whereas the second part consisted of items measuring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paire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inally,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job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dietitians’ duties depending on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 There were items that differed significantly by establishment type in terms of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 Moreover, the IPA results show that ‘service management’ item was located in a different quadrant for all types of establishments. This study offers the basis for kindergarten policy in terms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on the kindergarten foodservice environment for each type of establishment.

Keywords: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kindergarten dietitians,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서 론

가족구조 및 문화의 변화, 여성의 취업률 증가와 보편적 무상지원의 실현으로 미취학 영유아의 육아지원기관 이용률과 이용 시간이 증가하였다(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2014). 2018년 12월 전체 미취학 영유아 2,904,953명(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중 71.8%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으며(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KESS] 2018, KICCE 2018),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연령인 3세∼5세의 41.3%가 어린이집, 49.3%가 유치원을 이용하고 있다(KESS 2019). 2019년 전국 유치원 수는 국립 3개교, 공립 4,856개교(단설 403개교, 병설 4,453개교), 사립 3,978개교로 총 8,837개교이며, 학생 수는 국립 275명, 공립 177,055명, 사립 456,583명으로 총 633,913명이다(KESS 2019). 이는 초·중·고등학교 등을 포함한 전체 학생 수의 약 10.4%, 전체 학교 수의 약 42.6%이다(KESS 2019).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1일 1회의 급식이나 2회의 간식을 섭취하고 있다. 영유아기는 성장의 급등기로서 신체적인 성장과 발달이 급속도로 진행되며, 이 시기의 식습관과 영양은 성인기의 신체적 건강과 식습관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치원에서의 급·간식은 매우 중요하다(KICCE 2014). 급·간식 관리에 있어서 영양사의 유무는 급식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Jung HY 등 2004; Seo EH & Park EJ 2016), 전문 인력으로써 영양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Lee KH 등 2013; Ministry of Education 2017). 영양사 직무는 「국민건강영양관리법 제17조」에 명시되어 있으며(Ministry of Health and Walfare 2018), 2019년 10월 제정된 「보건의료인력법」에 영양사가 보건의료인력으로 포함되면서 영양사 직무의 중요성은 사회적·제도적으로 더욱 강화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alfare 2019).

유치원의 경우, 2004년 1월 유아교육법 제정으로 유아의 영양관리를 위한 영양사의 배치 근거가 마련되면서 유치원의 급·간식 관리가 강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20a). 그러나, 1회 급식 유아가 100인 이상인 유치원에 영양사 1인을 두되, 동일 교육청 관할 구역의 5개 유치원까지 공동관리가 가능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원활한 급식 및 영양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Lee KH 등 2013; Ministry of Education 2020a). 실제로 2019년 8,593개의 유치원 영양(교)사의 배치 형태는 단독배치 962명(11.2%), 공동배치 6,512명(75.8%), 미배치 1,119명(13.0%)으로 조사되었다(KERIS 2019).

국가 발전에 있어서 영유아기의 중요성이 푸트라자야 선언문(UNICEF 2016)에 명시되는 등, 양질의 영유아기 프로그램은 건강, 영양, 학습 등을 포괄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형평성과 질을 보장하기 위해 법과 규정, 커리큘럼 등에 책무성이 있어야 한다(KICCE 2017). 그러나 현재 유치원 급식의 경우, 유치원 설립유형별로 영양사 배치 및 급식관리 상황이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침 없이 각자의 형편에 따라 급식이 운영되고 있다(Lee SH 등 2001; Ham SO 2020). 이에, 2019년 서울시교육청은 유치원 급식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협의체에서 현 유치원 급식제도의 전반적인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치원 안심 급식 환경구축을 위한 정책 연구를 진행하여 유치원 설립유형별 실태조사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유치원 급식 운영 체계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회에서는 사립유치원의 투명성 문제와 함께 유치원 급식 개정안이 포함된 「유치원 3법 개정안」을 발의하였고, 2020년 1월 발의안이 통과되어 유치원 급식은 비로소 학교급식법 적용 대상에 포함 및 영양교사를 배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유치원 급식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유치원 급식 실태와 인식 연구(Lee MJ 등 2008; Kim JY 2012; Park SH & Joo NM 2015; Yeoh Y & Kwon S 2015; Jeong JY 등 2020), 영양사 배치 유무에 따른 급식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Kim SY 등 2011; Lee KH 등 2013), 영양사 직무 분석 연구(Park SH & Joo NM 2015; Yang IS 2015; Ham SO 2016; Kang HS 등 2016; Choi JH & Lee KE 2019; Yoo SB 2020) 등이 있으나,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 직무 비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치원 급식의 정착을 위해서는 급식 운영과 관리의 주체인 영양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의 직무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의 직무 중요도와 직무 수행도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사 담당 업무를 파악하고, 둘째,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고, 셋째,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 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직무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유치원 급식 정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 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번호: 2019-07-01-07)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유치원알리미 2019-1차 공시자료를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유치원 수는 공립 232개교(단설 26개교, 병설 206개교), 사립 579개교로 총 811개교이며, 학생 수는 공립 15,872명(단설 3,444명, 병설 12,428명), 사립 62,009명으로 총 77,881명으로 조사되었다(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2019).

설문의 예비조사는 2019년 6월 25일(화) 유치원 영양사 3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확정된 설문지의 본 조사는 2019년 7월 2일부터 19일까지 약 18일간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공립 단설·병설, 사립 총 811개 유치원의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각 유치원으로 공문을 발송하여 대상자에게 배포되었으며, 우편, 이메일, 팩스로 회수되었다. 총 157부가 수집되었으나,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공립단설 18부, 공립병설 96부, 사립 38부 총 152개(18.7%)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2.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유치원 현장조사 및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초안이 개발되었고, 간담회를 통한 타당성 검토 후 최종 개발되었다. 현장조사는 2019년 6월∼7월, 설립유형별 유치원 6곳을 대상으로 유치원 원장, 초등학교 교장, 영양(교)사 대상의 실무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선행문헌 고찰은 유아교육법, 사립학교법, 학교급식법 등의 관련 법령(Ministry of Education 2020a; Ministry of Education 2020b; Ministry of Education 2020c) 및 선행 연구(Yang IS 2015; Ham SO 2016)자료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유치원 상황에 맞게 설문지 초안이 개발 및 수정되었다. 도출된 설문지는 2019년 6월 25일(화) 교육청 관계자 2인, 유치원 급식 실무자(유치원장, 영양사) 5인을 대상으로 타당성 검토를 위한 간담회를 통해 수정·보완 후 최종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지는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파트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근무지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총 6문항으로 근무지 유형, 성별, 연령, 영양(교)사 총 종사기간, 현재 근무하는 유치원 종사기간, 고용 형태를 조사하였다. 근무지 특성은 총 3문항으로 담당업무, 위생·영양교육 운영 여부, 위생·영양교육 실시 대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유치원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유치원 영양사 직무 6개 항목에 대해 Likert의 5점 척도(1점: 전혀 중요하지 않다, 5점: 매우 중요하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3. 통계분석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cience) Windows Ver. 25.0 통계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분석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근무지 특징은 기술 통계분석를 사용하였다. 둘째, 설립유형별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 차이와 수행도 차이는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셋째, 공립단설의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는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고, 공립병설과 사립의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을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사 직무의 수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Martilla JA & James JC 1977)를 참고하여 4사분면의 각 면에 대해 명명하였다. 1사분면은 ‘Concentrate Here’으로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고, 2사분면은 ‘Keep Up The Good Work’으로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곳으로 하였다. 3사분면은 ‘Low Priority’로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4사분면은 ‘Possible Overkill’로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는 높은 곳으로 하였다.


결 과

1. 조사대상자 일반사항 및 유치원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유치원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성별은 공립단설과 사립은 모두 여성이었고, 공립병설은 99.0%는 여성, 1.0%는 남성이었다. 연령대는 공립병설과 사립은 40대가 각각 49.5%, 42.1%로 가장 많았고, 공립단설은 30대가 38.9%로 가장 많았다. 영양(교)사 총 종사기간은 공립단설은 10년 이상이 38.9%, 사립은 5년 이상과 10년 이상이 각 27.8%로 가장 많았고, 공립병설은 15년 이상이 58.4%로 가장 많았다. 현재 근무하는 유치원 종사 기간은 공립단설은 1년 미만이 41.2%, 공립병설은 1년 이상이 31.8%, 사립은 4년 이상이 62.2%로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공립단설과 공립병설은 단독 영양사가 각각 94.4%, 75.6%로 나타났고, 사립은 공동영양사가 65.6%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dietitians and their kindergartensN(%)

담당하고 있는 업무로 모든 설립 유형에서 ‘급식 관련 서류 관리’, ‘식단 관리’, ‘급식 인력 관리 및 교육’, ‘개인위생 및 안전 관리’, ‘시설위생 및 안전 관리’는 응답률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립단설은 ‘급식 관련 운영위원회 운영(70.6%)’과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70.6%)’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공립병설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27.8%)’이 다른 항목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립은 ‘식재료 관리(76.5%)’, ‘시설 관리(64.7%)’, ‘배식 관리(44.1%)’,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38.2%)’, ‘급식 관련 운영위원회 운영(17.6%)’이 낮게 나타났다.

위생·영양 교육 운영 여부는 공립단설 94.1%, 공립병설 93.1%, 사립 88.6%가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영양교육 대상으로 ‘조리 종사자’는 공립단설 93.8%, 공립병설 96.2%, 사립 96.6%로 가장 많았고, ‘유아’는 공립단설 56.3%, 공립병설 44.3%, 사립 41.4%로 낮게 나타났다.

2.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

1)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를 Table 2와 같이 비교 분석하였다. 영양사 직무 6개 항목의 중요도 평균 최저점은 4.40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식재료 관리’가 중요도 평균 점수 4.94점으로 6가지 항목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평균 4.4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단 관리’, ‘배식 관리’,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은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단 관리’는 공립병설이 5.00점으로 공립단설(4.78점), 사립(4.81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배식 관리’는 공립병설이 4.80점으로 사립(4.44)보다 높았으며(p<0.01),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은 공립병설이 4.54점으로 공립단설(4.06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Importance of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2)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수행도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수행도를 Table 3과 같이 비교 분석하였다. 영양사 직무 6개 항목 중, ‘유아 대상영양·식생활 교육(3.66점)’을 제외한 5개 항목의 수행도는 평균 최저 4.20으로 나타났으며, 설립유형에 따라 직무 수행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재료 관리’는 공립단설(4.81점)과 공립병설(4.96점)이 사립(4.59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단 관리’와 ‘급식 시설 관리’는 공립병설이 공립단설과 사립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01, p<0.01), ‘급식 종사자 관리’와 ‘배식 관리’는 공립병설이 사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p<0.001).

Performance of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3)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

전체 조사대상자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6개 항목 모두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은 중요도(4.42점)와 수행도(3.36점) 평균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p<0.001).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4)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각 설립 유형에서 영양사 직무 6개 항목 모두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립단설은 ‘배식 관리’, 공립병설은 ‘식단관리’,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립은 모든 항목의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립단설은 ‘배식 관리’에서 중요도(4.67점)가 수행도(4.44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공립병설은 ‘식단 관리’에서 중요도(5.00점)가 수행도(4.93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에서 중요도(4.57점)가 수행도(3.16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3.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1)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전체 조사대상자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격자도 분석결과는 Fig. 1과 같다. 수행도의 평균값(4.74)을 X축의 분할선으로 하고, 중요도의 평균값(4.46)을 Y축의 분할선으로 하여 1∼4분면으로 구분하였다. ‘Keep Up The Good Work’ 사분면은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 종사자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Low Priority’ 사분면의 경우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포함되었으며, ‘Possible Overkill’ 사분면은 ‘급식 시설 관리’, ‘배식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Fig. 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2) 공립 단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공립 단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격자도 분석결과는 Fig. 2와 같다. 수행도의 평균값(4.62)을 X축의 분할선으로 하고, 중요도의 평균값(4.39)을 Y축의 분할선으로 하여 1∼4분면으로 구분하였다. ‘Keep Up The Good Work’ 사분면은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종사자 관리’, ‘배식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Low Priority’ 사분면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Possible Overkill’ 항목은 ‘급식 시설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Fig. 2.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3) 공립 병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공립 병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격자도 분석결과는 Fig. 3과 같다. 수행도의 평균값(4.82)을 X축의 분할선으로 하고, 중요도의 평균값(4.55)을 Y축의 분할선으로 하여 1∼4분면으로 구분하였다. ‘Keep Up The Good Work’ 사분면은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 종사자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Low Priority’ 사분면의 경우 ‘유아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포함되었으며, ‘Possible Overkill’ 사분면은 ‘급식 시설 관리’, ‘배식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Fig. 3.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ublic attached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4) 사립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사립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격자도 분석결과는 Fig. 4와 같다. 수행도의 평균값(4.62)을 X축의 분할선으로 하고, 중요도의 평균값(4.29)을 Y축의 분할선으로 하여 1∼4분면으로 구분하였다. ‘Keep Up The Good Work’ 사분면은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 종사자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Low Priority’ 사분면에는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배식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고, ‘Possible Overkill’ 사분면은 ‘급식 시설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Fig. 4.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rivate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고 찰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공립단설, 공립병설, 사립 유치원 811개교의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 유치원은 공립 232개교(단설 26개교, 병설 206개교), 사립 579개교로 총 811개교였으나, 최종 분석에는 공립 114개교(단설 18개교, 병설 96개교), 사립 38개교로 총 152개교(18.7%)가 사용되었다. 조사에 응답한 유치원 중, 특히 사립의 비율이 낮은 것은 사립유치원의 경우, 1회 급식 유아가 100인 미만인 유치원이 많고 이에 공동관리 영양사가 배치된 곳이 많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본 연구의 조사대상 유치원 811개 중, 급식 유아수가 100인 미만인 유치원 수는 총 501개교로, 이중 공립단설 2개교(7.7%), 공립병설 195개교(94.7%), 사립 304개교(52.5%)로 나타났다(KERIS 2019). 공립병설의 경우, 1회 급식 유아 100인 미만의 비율이 사립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공립병설은 영양교사가 초등학교를 공동관리하는 경우가 많아서(KICCE 2014) 사립유치원의 공동관리(동일 교육청 관할 구역의 5개 유치원까지 공동관리)와는 매우 다른 경우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이런 사항을 고려함에도 사립의 응답률이 절대적으로 낮기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으며, 설립유형별 공동관리 현황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원 영양사가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응답은 설립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공립단설은 ‘급식 관련 운영위원회 운영’과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고른 응답을 보였다. 공립병설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27.8%)’이 다른 항목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공립병설의 경우, 초등학교 소속의 영양교사가 유치원 급식을 공동관리하는 경우가 많고, 학교급식법 시행령 제8조에 명시된 영양교사의 직무 중 ‘식생활 지도, 정보 제공 및 영양 상담’이 있으나, 교육 대상이 초등학생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사립은 모든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는데, 타 설립 유형에 비해 사립 유치원 영양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Lee SH 등(2001)의 연구에서 사립 유치원의 경우, 식단관리, 구매 및 배식 관리 등에 원장, 원감, 교사의 역할이 영양사보다 크게 나타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위생·영양 교육을 운영하는 비율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대상으로 조리 종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ICCE(2014)의 연구에서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필요한 항목으로 ‘조리 종사자의 위생 및 손 씻기’가 높은 순위를 보였는데, 조리 종사자 교육은 급식 운영에 있어서 위생 및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다른 교육 대상자보다 교육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 평균은 식재료 관리(4.94점)>식단 관리(4.93점)>급식 종사자 관리(4.82점)>급식 시설 관리(4.71점)>배식 관리(4.70점)>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4.40점) 순으로 나타났다. Yoo SB(2020)의 유치원 영양사의 직무수행도, 직무중요도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는 직무의 중요도로 위생 및 안전관리>식단 관리>구매 관리>인력 관리>식생활·영양교육관리>급식운영·평가관리>회계 및 사무관리>조리 및 배식관리>기타 업무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Yoo SB(2020)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비해 중요도 항목이 많고, 각 항목별 세부요소를 제시하고 있어서 연구 결과를 단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Yoo SB(2020)의 구매관리 항목의 세부요소를 분석하면 본 연구의 식재료 관리 항목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두 연구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중요도 항목의 순위만을 비교할 경우, 두 연구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Yoo SB(2020)의 연구는 유치원 영양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로써 본 연구와 가장 유사한 연구에 해당하지만, 본 연구(25%)보다 낮은 사립 유치원 비율(10.5%)과 공립 유치원을 단설과 병설로 세분화하지 않은 것이 연구 결과에 차이를 가져온 원인 중의 하나일 것으로 추측된다. Choi JH & Lee KE(2019)의 영양사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직무의 중요도로 영양 관리/위생 및 안전 관리>급식 운영 관리>전문성 강화>조직 경영 관리>지역 사회 식품영양 사업관리 순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보다 포괄적으로 영양사 직무를 분석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Choi HJ & Park JH (2010)의 영양교사 평가지표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 연구에서는 영양교사 핵심업무로 4개의 평가요소와 10개의 평가지표를 사용하였다. 4개의 평가요소-10개의 평가지표는 1. 식단작성-영양소 및 열량 분석, 맛과 다양성 고려, 2. 식재료 선정 및 검수-식재료의 예산집행, 식재료 검수 기준 이행, 3. 위생 및 안전 관리-검식 및 위생관리, 시설 및 도구 관리, 조리실 종사자 지도 및 감독, 4. 영양교육-식생활 지도 및 교육, 식생활 정보 제공 및 상담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중요도 항목 중 ‘급식종사자 관리’와 ‘급식 시설 관리’는 Choi HJ & Park JH(2010)의 연구에서는 ‘위생 및 안전 관리’ 평가요소의 평가지표로 사용되었기에 본 연구에 사용된 중요도 항목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Choi HJ & Park JH (2010)의 연구에서 영양교사의 평가지표 중요도 상위 5개는 식재료 검수 기준 이행>영양소 및 열량 분석>식재료의 예산 집행>조리실 종사자 지도 감독>시설 및 도구 관리의 순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Choi HJ & Park JH(2010)의 연구는 초·중등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지만, 공립병설 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공동관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미있는 연구 결과라고 사료된다.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평균 4.40점)’으로 나타났는데, Choi HJ & Park JH (2010)의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교사 평가지표의 중요도로 ‘식생활 지도와 교육’, ‘식생활 정보 제공’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식단 관리’와 ‘배식 관리’의 중요도는 사립이 타 설립 유형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KICCE(2014) 연구에서 급간식 직무 담당으로 ‘식단 작성(영양사 71.3%)’과 ‘식단 수정(영양사 49.0%)’은 원장의 비율이 각각 13.8%, 31.0%로 나타났고, ‘배식 담당(영양사 16.3%)’은 교사의 비율이 49.5%로 나타났다. 설립유형별 결과를 제시하지 않아서 정확한 파악은 어렵지만, 역으로 유추해 볼 때 사립의 경우, 식단 및 배식 업무에 있어서 원장과 유치원 교사의 역할이 타 설립 유형에 비해 높아서 영양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점수가 타 설립 유형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유치원 영양사의 담당 업무에 대한 조사에서, 사립은 배식관리 업무를 영양사 담당업무로 인식하는 비율이 44.1%로 낮게 나타났다.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은 공립병설이 공립단설에 비해 직무 중요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치원 영양사의 담당 업무에 대한 조사에서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에 공립단설이 70.6%, 공립병설이 27.8%로 응답한 것과 차이를 보였다. 공립병설의 경우,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유치원 영양사의 직무는 아니지만, 직무 자체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사 직무의 수행도 평균은 식재료 관리(4.85점)>식단 관리(4.79점)>급식 종사자 관리(4.71점)>급식 시설 관리(4.65점)>배식 관리(4.56점)>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3.36점) 순으로 나타났다. Yoo SB(2020)의 연구에서는 직무의 수행도로 위생 및 안전 관리>조리 및 배식관리>인력 관리>구매 관리>식단 관리>식생활·영양교육관리>회계 및 사무관리>기타 업무 관리>급식운영·평가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중요도 순위 결과보다 수행도 순위 결과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사대상자의 차이도 있지만, 각 항목의 정의 차이가 연구 결과에 차이를 가져온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Yoo SB(2020)의 조리 및 배식관리 항목의 세부요소에는 조리원 조리 및 배식 작업 지도·감독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본 연구의 급식 종사자 관리와 배식관리 총 2항목에 해당한다. Choi HJ & Park JH(2010)의 연구에서 영양교사의 평가지표 수행도 상위 5개는 영양소 및 열량 분석>식재료 검수 기준 이행>시설 및 도구 관리>식재료의 예산집행>조리실 종사자 지도 감독 순으로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모든 설립 유형에서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의 수행도 점수가 3점대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KICCE (2014) 연구에서 유치원에서의 영양·식생활 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이 95.2% 높게 나타났으며, Jeong MS & Kim NH(2011)의 연구에서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69.0%에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실시하는 경우, 유아대상 교육이 84.8%(다중응답)이고, 교육 담당자는 담임교사 78.6%, 영양사 24.8%라는 연구 결과를 통해 영양·식생활 교육은 유치원 교사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외의 모든 항목의 수행도는 설립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식재료 관리’는 공립단설과 공립병설이 사립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단 관리’와 ‘급식 시설 관리’는 공립병설이 공립단설과 사립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 종사자 관리’와 ‘배식관리’는 공립병설이 사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외의 모든 항목에서 공립병설의 수행도가 타 설립유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립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영양사 담당 업무에 대한 조사에서 사립이 타 설립 유형에 비해 전반적으로 응답률이 낮게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조사대상 전체 영양(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교육’ 항목은 중요도(4.42점)와 수행도(3.36점) 평균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Choi JH & Lee KE(2019)의 영양사 직무 분석 연구에서 전체 38개의 임무(task) 중에서 ‘식생활 교육’은 임무의 중요도에서 상위 8번째, 임무의 난이도에서는 상위 3번째로 나타났고, ‘영양교육 및 상담 평가’는 임무의 수행도에서 하위 10번째, 임무의 난이도에서 상위 11번째로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설립 유형에서 중요도 점수가 수행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설립 유형별 총 18개의 중요도와 18개의 수행도 중,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의 수행도 3개만 3점대로 나타났고,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Choi HJ & Park JH(2010)의 연구에서 ‘식생활 지도와 교육’, ‘식생활 정보제공 및 상담’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조사대상 전체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는 6개 항목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설립유형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다르게 나타났다. 공립단설은 ‘배식관리’, 공립병설은 ‘식단관리’,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립은 모든 항목의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공립병설의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으로 중요도 4.57점, 수행도 3.16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병설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유치원 급식을 공동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교육의 중요성은 타 설립 유형의 영양(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수행하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에 추가적인 유아 대상 교육의 수행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추측된다. Lee MJ 등(2008)의 경기도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교사 전환 후 업무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영양교육 및 상담과 식생활 지도에 있어서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어렵다는 연구 결과와 Kim JH & Cha JA(2016)의 영양교사 직무 기술서 개발연구에서 영양·식생활 교육에 대한 추가 업무로 어려움을 느낀다는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사립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인식하고 있는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보다 실제 수행이 어렵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육아정책 Brief(KICCE 2018)에서 공동 영양사의 비율이 높은 사립은 여러 개 기관의 포괄적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을 한 결과,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Concentrate Here’ 1사분면은 모든 설립유형에서 나타나지 않아서 중점 개선 항목은 없었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Keep Up The Good Work’ 2사분면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 종사자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고, 추가적으로 공립 단설의 경우 ‘Keep Up The Good Work’ 2사분면에 ‘배식관리’가 포함되어 현재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유지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Low Priority’ 3사분면은 모든 설립유형에서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포함되었고, 추가적으로 사립의 경우 ‘Low Priority’ 3사분면에 ‘배식관리’가 포함되어 개선 대상 항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Possible Overkill’ 4사분면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급식 시설 관리’가 포함되었고, 추가적으로 공립병설의 경우, ‘Possible Overkill’ 4사분면에 ‘배식 관리’ 항목이 포함되어 과잉 지양항목으로 나타났다. Yoo SB(2020)의 IPA분석 결과(유사 항목만 비교), ‘Concentrate Here’ 1사분면과 ‘Low Priority’ 3사분면에는 해당하는 항목이 없었고, ‘Keep Up The Good Work’ 2사분면에는 ‘식단관리’, ‘구매관리’, ‘인력관리’가 포함되었다. ‘Possible Overkill’ 4사분면에는 ‘조리 및 배식관리’ 항목이 포함되었고, ‘식생활·영양교육관리’는 수행도와 중요도 모두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이 모든 설립유형에서 3사분면에 위치한 것 외에는 매우 유사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공립병설은 ‘배식 관리’가 4사분면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Yoo SB(2020)의 ‘조리 및 배식관리’ 항목과 같은 위치이며, 이를 통해 Yoo SB(2020)의 연구대상이 공립단설과 공립병설로 세분화되지 않았지만 공립병설의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의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결과, 특히 눈에 띄는 항목은 ‘배식 관리’로, ‘배식 관리’ 외의 5가지 항목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동일한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배식 관리’가 각 설립유형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의 직무 중요도와 직무 수행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급식 정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7월 2일부터 19일까지 약 18일간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공립단설, 공립병설, 사립 유치원 811개의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공립단설 18부, 공립병설 96부, 사립38부 총 152개(18.7%)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조사대상자 일반사항으로 성별, 연령대, 영양(교)사 총 종사기간, 현재 근무하는 유치원 종사기간, 고용형태를 분석하였다. 유치원 영양(교)사의 성별은 공립 병설의 남성 1인(1%)을 제외하고 모두 여성이었다. 연령대는 공립단설은 30대가 38.9%, 공립병설과 사립은 40대가 각각 49.5%, 42.1%로 가장 많았다. 영양(교)사 총 종사기간은 공립단설은 10년 이상이 38.9%, 사립은 5년 이상과 10년 이상이 각 27.8%로 가장 많았고, 공립병설은 15년 이상이 58.4%로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공립단설과 공립병설은 단독 영양사가 각각 94.4%, 75.6%로 나타났고, 사립은 공동영양사가 65.6%로 나타났다.
  • 2. 조사대상자의 유치원 특성으로 담당업무, 위생·영양교육 운영 여부, 위생·영양교육 대상을 분석하였다. 공립단설은 ‘급식 관련 운영위원회 운영(70.6%)’과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70.6%)’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공립병설은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27.8%)’이 다른 항목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립은 ‘급식 관련 서류 관리’, ‘식단 관리’ 외의 모든 항목이 타 설립 유형에 비해 응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위생·영양 교육 운영 여부는 공립단설 94.1%, 공립병설 93.1%, 사립 88.6%가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생·영양 교육 대상으로 ‘유아’는 공립단설 56.3%, 공립병설 44.3%, 사립 41.4%로 낮게 나타났다.
  • 3.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 평균은 식재료 관리(4.94점)>식단 관리(4.93점)>급식 종사자 관리(4.82점)> 급식 시설 관리(4.71점)>배식 관리(4.70점)>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4.40점) 순으로 나타났다. 설립유형별로는 ‘식단관리’, ‘배식관리’,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공립병설이 공립단설, 사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4.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수행도 평균은 식재료 관리(4.85점)>식단 관리(4.79점)>급식 종사자 관리(4.71점)>급식 시설 관리(4.65점)>배식 관리(4.56점)>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3.36점) 순으로 나타났다. 설립유형별로는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 항목 외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공립병설이 공립단설, 사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5. 전체 조사대상자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양사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설립유형별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다르게 나타났다. 공립단설은 ‘배식 관리’(p<0.05), 공립병설은 ‘식단관리’(p<0.05),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립은 모든 항목의 중요도가 수행도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6. IPA 분석 결과,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Concentrate Here’ 1사분면은 모든 설립유형에서 나타나지 않아서 중점 개선 항목은 없었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Keep Up The Good Work’ 2사분면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식재료 관리’, ‘식단관리’, ‘급식 종사자 관리’ 항목이 포함되어 현재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유지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Low Priority’ 3사분면은 모든 설립유형에서 ‘유아 대상 영양·식생활 교육’이 포함되어 개선 대상 항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Possible Overkill’ 4사분면은 모든 설립 유형에서 ‘급식 시설 관리’가 포함되어 과잉 지양항목으로 나타났다. ‘배식 관리’ 외의 5가지 직무는 모든 설립 유형에서 동일한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유치원 설립유형별로 영양사의 담당업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있어서는 설립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항목이 있었고, 유치원 영양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에 있어서도 설립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이 다르게 나타났다. 유치원 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결과에서는 ‘배식 관리’ 항목이 모든 설립유형에서 다른 사분면에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유치원 설립유형별 영양사의 직무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설립유형별로 차별 없는 급식과 급식 정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유치원 설립유형별 급식 시설과 구매 등을 포함한 급식 환경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한정하여 실시하였기에 향후 지역을 확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사립유치원의 응답률이 절대적으로 낮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사립유치원의 낮은 응답률은 높은 공동관리 영양사의 비율로 추측하였기에 설립유형별 공동관리 현황에 대한 추후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 Choi HJ, Park JH (2010)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 the indicators and items on a teacher evaluation. J Korean Dietetic Assoc 16(2): 146-159.
  • Choi JH, Lee KE (2019) Job analysis of dietitian using DACUM technique-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analysis. Korean J Food Nutr 32(5): 536-552.
  • Ham SO (2016) A Study on Nutrition Teacher’s Job Analysis to Improve School Meal EfficiencyⅡ.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Korea. pp 89-95.
  • Ham SO (2020) Study on Improvement of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 Meal System and Placement Plan of Dietitians.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Korea. pp 11-17.
  • Jeong JY, Kim YU, Kim GH, Oh JE (2020) Analysis for the need to support kindergartens based on perception of parent regarding important factors for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Cult 35(1): 79-85.
  • Jeong MS, Kim NH (2011) A survey on nutrition education realities and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J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10(2): 131-54.
  • Jung HY, Yang IS, Chae IS, Lee HY (2004) Analyzing the operational differences of foodservice center for homebound elderly by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 J Korean Diet Assoc 10(2): 197.
  • Kang HS, Lee Y, Chae IS (2016)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s or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in Jeju. J Nutr Health 49(3): 189-200. [https://doi.org/10.4163/jnh.2016.49.3.189]
  • Kim JH, Cha JA (2016) Development of job description of nutrition teacher by the DACUM method. J Korean Diet Assoc 22(3): 193. [https://doi.org/10.14373/JKDA.2016.22.3.193]
  • Kim JY (2012) An analysis of meal guidance and meal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KAIS 13(10): 4487-4495.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487]
  • Kim SY, Yang IS, Yi BS, Baek SH, Shin SY, Lee HY, Kim YS (2011)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s demands on foodservice support by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of Community Nutrition 16(6): 730-739. [https://doi.org/10.5720/kjcn.2011.16.6.730]
  •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9) Kindergarten Alimi. https://e-childschoolinfo.moe.go.kr, (accessed on 21. 6. 2020)
  •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8) Statistics on Education in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ttps://kess.kedi.re.kr, (accessed on 20. 4. 2020)
  •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9) Statistics on Education in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ttps://kess.kedi.re.kr, (accessed on 20. 4. 2020)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Snacks and Meals in Child Care Support Institutions, Korea.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7) Development of Guildeline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Kindergarten Meal Service, Korea. p 19.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8)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tatistics, Korea. pp 26-31.
  •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Demographic statistics. http://27.101.213.4/, (accessed on 20. 4. 2020)
  • Lee KH, Kim MH, Choi M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foodservices and their satisfactions between kindergartens with and without dietitians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 278-285. [https://doi.org/10.3746/jkfn.2013.42.2.278]
  • Lee MJ, Jang MS, Lee J (2008) Analysis of recognized changes in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dietitians transposed to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4(3): 243.
  • Lee SH, Lee MH, Eom JG, Kim JH (2001) Analysis of meal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Education 24: 83-103.
  • Martilla JA,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J of Marketing 41(1): 77. [https://doi.org/10.2307/1250495]
  • Ministry of Education (2017) Operation Manuel for Kindergarten Meals & Snack, Korea. p 23.
  • Ministry of Education (2020a)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No. 16875. http://www.law.go.kr, (accessed on 20. 4. 2020)
  • Ministry of Education (2020b) Private School Act. No. 16439. http://www.law.go.kr, (accessed on 4. 5. 2020)
  • Ministry of Education (2020c) School Meal Act. No. 16338. http://www.law.go.kr, (accessed on 4. 5. 2020)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Act. No. 15877. http://www.law.go.kr, (accessed on 20. 4. 2020)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Act. No. 16371. http://www.law.go.kr, (accessed on 20. 4. 2020)
  • Park SH, Joo NM (2015) An evaluation of the food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of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by IPA-Focusing on parents of preschoolers in metropolitan area of Korea, China and Japan. Korean J Food Nutr 28(1): 160-169. [https://doi.org/10.9799/ksfan.2015.28.1.160]
  • Seo EH, Park EJ (2016) Nutrition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by dietitian employment. Korean Society Wellness 11(4): 473-483. [https://doi.org/10.21097/ksw.2016.11.11.4.473]
  • UNICEF (2016) Putrajaya Declation. Asia-Pacific Regional Policy Forum o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Malaysia.
  • Yang IS (2015) A Study on Nutrition Teacher’s Job Analysis to Improve School Meal Efficiency.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Korea. pp 111-116.
  • Yeoh Y, Kwon S (2015)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related service management and feeding practices of teachers at mealtime in childcare centers. J Nutr Health 48(3): 289-297. [https://doi.org/10.4163/jnh.2015.48.3.289]
  • Yoo SB (2020)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in kindergarten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p 12-33.

Fig. 1.

Fig. 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Fig. 2.

Fig. 2.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Fig. 3.

Fig. 3.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ublic attached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Fig. 4.

Fig. 4.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private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dietitians and their kindergartensN(%)

Kindergarten type Public independent Public attached Private Total
18( 11.8) 96(63.2) 38( 25.0) 152(100.0)
Gender Female 18(100.0) 95(99.0) 37(100.0) 150( 99.3)
Male 0( 0.0) 1( 1.0) 0( 0.0) 1( 0.7)
Age 20∼29 6( 33.3) 9( 9.5) 3( 7.9) 18( 11.9)
30∼39 7( 38.9) 11(11.6) 4( 10.5) 22( 14.6)
40∼49 4( 22.2) 47(49.5) 16( 42.1) 67( 44.4)
50∼59 1( 5.6) 25(26.3) 12( 31.6) 38( 25.2)
≥60 0( 0.0) 3( 3.2) 3( 7.9) 6( 4.0)
Total period of employment <1 2( 11.1) 3( 3.4) 1( 2.8) 6( 4.2)
≥1 3( 16.7) 15(16.9) 7( 19.4) 25( 17.5)
≥5 6( 33.3) 8( 9.0) 10( 27.8) 24( 16.8)
≥10 7( 38.9) 11(12.4) 10( 27.8) 28( 19.6)
≥15 0( 0.0) 52(58.4) 8( 22.2) 60( 42.0)
Total period of employment at present kindergarten <1 7( 41.2) 22(25.0) 2( 5.4) 31( 21.8)
≥1 2( 11.8) 28(31.8) 2( 5.4) 32( 22.5)
≥2 1( 5.9) 12(13.6) 8( 21.6) 21( 14.8)
≥3 1( 5.9) 4( 4.5) 2( 5.4) 7( 4.9)
≥4 6( 35.3) 22(25.0) 23( 62.2) 51( 35.9)
Employment type Sole dietitians 17( 94.4) 68(75.6) 11( 34.4) 96( 68.6)
Community dietitians 1( 5.6) 22(24.4) 21( 65.6) 44( 31.4)
Assigned duty (multiple response) Meal-related documents management 17(100.0) 89(98.9) 34(100.0) 140( 99.3)
Menu management 17(100.0) 89(98.9) 33( 97.1) 139( 98.6)
Manpower management and training 17(100.0) 89(98.9) 30( 88.2) 136( 96.5)
Personal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17(100.0) 89(98.9) 28( 82.4) 134( 95.0)
Facility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16( 94.1) 89(98.9) 28( 82.4) 133( 94.3)
Ingredient management 17(100.0) 89(98.9) 26( 76.5) 132( 93.6)
Facility management 16( 94.1) 87(96.7) 22( 64.7) 125( 88.7)
Service management 16( 94.1) 82(91.1) 15( 44.1) 113( 80.1)
Operation of the committee on school meals 12( 70.6) 83(92.2) 6( 17.6) 101( 71.6)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kids 12( 70.6) 25(27.8) 13( 38.2) 50( 35.5)
Etc. 3( 17.6) 16(17.8) 2( 5.9) 21( 14.9)
Operation of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Yes 16( 94.1) 81(93.1) 31( 88.6) 128( 92.1)
No 1( 5.9) 6( 6.9) 4( 11.4) 11( 7.9)
Target of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multiple response) Culinary workers 15( 93.8) 76(96.2) 28( 96.6) 119( 96.0)
Parent 9( 56.3) 57(72.2) 10( 34.5) 76( 61.3)
Teacher 6( 37.5) 51(64.6) 14( 48.3) 71( 57.3)
Early childhood 9( 56.3) 35(44.3) 12( 41.4) 56( 45.2)
Etc. 1( 6.3) 12(15.2) 0( 0.0) 13( 10.5)

Table 2.

Importance of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Dimension Public independent Public attached Private Mean±S.D. F-value
Mean±S.D., **p<0.01, ***p<0.001.
a, b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ngredient management 4.89±0.32 4.97±0.18 4.89±0.32 4.94±0.24 1.857
Menu management 4.78±0.43a 5.00±0.00b 4.81±0.40a 4.93±0.26 11.741***
Employee management 4.78±0.43 4.88±0.36 4.69±0.58 4.82±0.43 2.593
Facility management 4.61±0.61 4.77±0.47 4.61±0.55 4.71±0.51 1.764
Service management 4.67±0.49ab 4.80±0.43b 4.44±0.65a 4.70±0.52 6.818**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kids 4.06±0.66a 4.54±0.65b 4.25±0.69ab 4.40±0.68 4.907**

Table 3.

Performance of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Dimension Public independent Public attached Private Mean±S.D. F-value
1) Mean±S.D., **p<0.01, ***p<0.001.
a, b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ngredient management 4.81±0.54ab 4.96±0.25ab 4.59±0.66a 4.85±0.46 9.063***
Menu management 4.56±0.63a 4.93±0.31b 4.60±0.60a 4.79±0.48 8.771***
Employee management 4.69±0.48ab 4.84±0.43b 4.43±0.65a 4.71±0.53 7.939**
Facility management 4.50±0.52a 4.80±0.49b 4.37±0.73a 4.65±0.59 7.616**
Service management 4.44±0.63ab 4.75±0.52b 4.20±0.90a 4.56±0.69 8.782***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kids 3.57±1.09 3.16±1.42 3.66±1.21 3.36±1.34 1.816

Table 4.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Dimension Importance Performance t-value
1) Mean±S.D., *p<0.05, **p<0.01, ***p<0.001.
Ingredient management 4.95±0.21 4.85±0.46 3.243**
Menu management 4.92±0.27 4.79±0.48 3.714***
Employee management 4.83±0.43 4.71±0.53 7.939**
Facility management 4.74±0.49 4.65±0.59 3.395*
Service management 4.71±0.52 4.56±0.69 3.334**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kids 4.42±0.70 3.36±1.34 7.994***

Table 5.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etitians’ duties by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s

Dimension Public independent z-value Public attached t-value Private t-value
*p<0.05, **p<0.01.
Ingredient management Importance 4.89±0.32 —0.577 5.00±0.00 1.348 4.88±0.33 3.273**
Performance 4.81±0.54 4.96±0.25 4.59±0.66
Menu management Importance 4.78±0.43 —1.633 5.00±0.00 2.170* 4.80±0.41 2.503*
Performance 4.56±0.63 4.93±0.31 4.60±0.60
Employee management Importance 4.78±0.43 —0.577 4.91±0.33 1.754 4.69±0.58 3.431**
Performance 4.69±0.48 4.84±0.43 4.43±0.65
Facility management Importance 4.61±0.61 —0.378 4.84±0.40 0.830 4.60±0.55 2.758**
Performance 4.50±0.52 4.80±0.49 4.37±0.73
Service management Importance 4.67±0.49 —2.000 4.84±0.41 1.541 4.43±0.65 2.758**
Performance 4.44±0.63 4.75±0.52 4.20±0.90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kids Importance 4.06±0.66 —1.466 4.57±0.68 7.768** 4.26±0.70 2.915**
Performance 3.57±1.09 3.16±1.42 3.66±1.21